대보름에 대한 유례가 있더라구요 뭘까요?
우리나라는 유례가 많은것 같습니다 대보름이 생기게 된 유래도. 있더라구요 임금이 까마귀를 만나면서 얘기가 진행되던데 정확한 이야기가 뭘까
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해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서
상원이라 하여 설날만큼 중요성이 크다고 합니다.
부럼깨물이 더위팔기 귀밝이 술 마시기가 있습니딘다.
신라시대 소지왕에서 부터 시작 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신라 시대, 임금 소지왕이 정월 대보름에 천천정으로 행차하기 위해 궁을 나섰는데 갑자기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옵소서."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러자 임금은 신하를 시켜 까마귀를 따라가게 했고 신하가 까마귀를 어느 정도 따라가다가 어느 연못에 다다랐을 때, 신하는 돼지 두마리가 싸움을 보다가 그만 까마귀를 놓쳐 버렸습니다 잠시 후에 연못에서 노인이 나와서 신하에게 편지 봉투를 주고는 "그 봉투 안의 글을 읽으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입니다."라고 말하고는 사라졌고 신하는 궁에 돌아와 임금에게 편지 봉투를 주면서 연못의 노인이 한 말을 전했습니다
임금은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단 한 사람이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해 편지를 읽지 않으려 했는데 옆에 있던 일관이 "전하, 두 사람이라 함은 보통 사람을 말하고, 한 사람이라 함은 전하를 말하는 것이니 편지의 글을 읽으시옵소서"하니 일관의 말에 일리가 있다 생각하여 편지를 읽어 보았다고 합니다
그 편지에는 '사금갑: 거문로 갑을 쏘시오'라고 적혀있었고 임금은 거문고 갑을 활로 쏜 다음 열어보니 두사람이 활에 맞아 숨져있었다고 합니다
이 두사람은 왕비와 어떤 중이었는데 왕비와 중이 한통속이 되어 임금을 해치려 했던것입니다
그 뒤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이라 해서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 이후 찰밥이 발전해 약밥이 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 정월대보름-나무위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일년중 가장 크고 밝은 보름달인 정월 대보름의 유래는 옛날 선조들에게는 보름달이 꽉차는 모양은 풍년을 의미하던 시대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실제로 정월 대보름은 매년 음력 1월 15일을 정월 대보름이라고 하는데, 정월은 음력으로 한 해의 첫달을 의미하기 때문에 특히 농경 사회였던 우리나라는 큰 의미가 있는 명절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