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아임유얼마더
아임유얼마더

병원 간판에 '전문의'라고 크게 적어뒀더라고요. 전문의, 일반의.. 다른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38

저희 동네에 병원이 많거든요.

그만큼 병원 간판도 많은데요.

오픈 예정이라며 '전문의'라고 크게 적어뒀더라고요.

간판에 전문의만 적을 수 있는 건가요?

전문의, 일반의.. 뭐가 다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전문의는 의사면허증을 취득하고 1년간의 인턴과 과별로 3년에서 4년까지 레지던트를 수료한후 전문의 시험을 통과해야 자격을얻을수 있습니다.일반의는 의사 면허는 있으나 전문의 면허가 없는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히고 의사먄허를 취득한자이고

      전문의는 수련병원에서 수련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한 자입니다.

    • 안녕하세요.

      튼튼하지의원 하지정맥센터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의 신경욱 원장입니다.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부분입니다^^


      의과대학..의대는 6년과정인것은 아시지요?

      6학년이라 하지않고 본과4학년 이라 부릅니다.

      첫2년은 의예과..줄여서 예과

      이후4년은 의학과..줄여서 본과


      본과4학년 졸업을 1달 남겨두고 의사'면허'시험을 봅니다.

      졸업증과 의사면허증을 거의 동시에 받게됩니다.


      면허번호가 있는 보건복지부 인정 '의사' 입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어떤 의료행위도 합법입니다.

      남성은 군문제가 남아있지만 여성은 즉시 페이닥터 취직이나 개원이 가능합니다. (일반의)


      그러나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싶거나 본인이 뜻한바가 있다면 세부적 공부를 더 해야겠지요?


      교육기관으로 인정받은 중대형 병원에서 '인턴'을 시작합니다.

      기간은 1년으로 매달 다른과 근무를 하며 난이도는 높지않으나 노동력이 필요한 업무를 주로 합니다.

      선배의사들 어깨너머로 업무파악을 합니다.

      하기나름이라 많이 습득하는 사람들도 있지요.


      인턴만 수료하고 페이닥터나 개원을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아직 전문의 아닙니다. 아직 일반의 입니다.


      인턴을 마치는 2월이 되기전에 12~1월경 레지던트 선발시험을 봅니다.

      이 시험성적 + 인턴근무태도 + 의과대학내신

      을 합쳐 원하는 과에 레지던트(전공의, 수련의 다 같은말) 지원을 합니다.


      4년간의 레지던트 과정(가정의학과, 내과는 3년)을 마치기 1달전에

      전문의 '자격증' 시험을 봅니다.

      이 시험에 합격해야 전문의 라는 타이틀을 달 수 있습니다.


      000성형외과 000피부과 000소아과등

      의원 병원 이름에 진료과 이름이 써있으면 해당과 전문의입니다.

      물론 원장이 쓰기싫으면 다르게 이름지어도 됩니다^^

      이럴때는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거나 병의원에 전화문의를 하셔도 됩니다.


      그럼 도움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