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5

양적완화를 통한 경기부양책이 인플레를 일으키나요?

양적완화를 통해 중앙은행이 통화를 직접 공급해서 경기위축의 방어와 신용경색을 해소한다고 하는데 경기위축이 해결되고 신용경색이 해소되었는데 갑자기 인플레는 왜 발생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2.07.31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양적완화를 통하여 시중에 엄청난 양의 돈을 공급하였습니다.

    시중에 풀린 많은 돈들이 물가를 상승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인플레이션을 발생하게 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쉽게 설명드려보자면, 양적완화(QE)를 하면 그만큼 시중 통화량 즉, 돈의 양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경기위축이 해결되고, 신용경색(돈의 흐름 개념)이 해소되겠지만 재화, 서비스의 교환 수단인 돈의 양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돈을 풀어 유동성을 높이는 양적완화정책은 화폐의 가치자체를 떨어뜨려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풀기도 하고 거둬들이기도 해야하는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은 양적완화와 대비되는 말로 시장의 풀리는 돈의 유입을 줄인다는 개념입니다. 긴축은 대부분 금리인상을 통한 투자심리 위축부터 정부의 자산 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 그리고 매입한 자산을 매도하는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중에 통화를 공급해서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으로 현 인플레이션과는 맞지 않은것이 시중에 통화가 많아 화폐가치하락등으로 물가상승을 잡기위한 고금리 정책등을 펼치고 있으며 고유가 및 곡물공급불안정이 인플레이션을 더 가속하고 있는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