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수용성은 물에 잘 녹는다는 뜻인데 잘 녹지 않는것도 있나요?
우리가 물질이라는것이 수용성 지용성 등 물에 잘 녹는지 안 녹는지에 따라서
이름이 붙어지는데요. 수용성이라도 물에 잘 녹지 않는것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수용성이란 뜻 자체가 물에 녹느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수용성이라고 해서 녹는 정도가 다 같진 않습니다.
어떤 물질은 물에 40%이상 녹는반면 어떤것은 1%이하로 녹습니다.
하지만 일단 조금이라도 녹는다면 수용성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물질이 수용성이라 해도 물에 잘 녹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물의 온도, 압력, 그리고 물질 자체의 구조나 특성 때문에 물에 녹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고분자 화합물들이 있습니다. 고분자 화합물은 대체로 수용성이지만, 고분자의 크기나 특성에 따라 물에 쉽게 녹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어떤 특정 염이나 유기 화합물은 수용성이지만 낮은 농도에서만 녹거나, 특정 조건에서만 물에 잘 용해됩니다. 이런 경우는 "제한적 수용성"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물질의 수용성과 용해성은 복잡한 화학적, 물리적 조건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수용성이 물에 완벽하게 용해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