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11.26

조선은 개국하고 나고 왜 유교를 숭상했을까요?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반란을 일으켜서 정권을 찬탈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조선을 개국하였다고 알고 있는데 왜 유교를 숭상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건국의 기반이 성리학을 신봉하는 신진사대부 세력을 중심으로 세워졌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그들에 의해 옹립되어진 인물이었고, 이성계도 자신이 왕권을 가질 수 있는 기회였기 때문에 국정을 운영함에 있어서 신진사대부들이 태두되는 것에 대해 이견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고려시대처럼 군부에 의해서 왕권이 흔들리고 약화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생각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고려 시대에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이 불교가 권력화되고 정치에 참여함으로써 타락하고 국가의 기반을 흔들 정도의 문제를 발생시켰기 때문에 유교 사상을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숭유억불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유교는 성리학적 학문을 기반으로 한 사상이므로 자연스럽게 유교가 활성화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를 숭상한 이유가 이성계는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고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채택했습니다. 유교는 왕권을 신성시하고 군주에게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는 사상이었기 때문이었으며 호족세력의 성장으로 인해 국가의 통치력이 약화되고 사회가 혼란에 빠졌던 시기에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통치이념과 사회질서가 필요했습니다. 유교는 인간의 도덕과 예절을 강조하는 사상이었기에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고 질서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유교를 국교로 채택한 것은 정치적 안정과 사회적 통합을 위해 유교가 필요했기때문이며 기존의 불교나 다른 신앙체게보다 유교가 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철학과 윤리관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중국 송나라 이후 성리학은 명나라를 통해 급속히 발전, 우리나라에 이 성리학은 고려 말 안향에 의해 소개되며 본시 성리학이란 불교의 초세간적 의식을 극복하고 중국 민족의 자존심 회복을 위해 만들어진 사상으로 고려 말 원 간섭기를 거치며 우리 민족 자존심 회복을 고심하던 신진사대부들에 의해 쉽게 수용되었습니다.

    본시 고려 시대때 불교는 국교, 유교는 정치철학으로 그 역할을 담당, 그래서 불교는 수신, 유교는 치국의 길을 제시했습니다.

    고려 후기 수입된 성리학은 불교를 배척하는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으므로 유교가 불교를 배척하는 분위기가 처음으로 형성, 이런 시대 상황속에 고려의 문신 이색은 유불동고론을 제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도 불교에 배울점은 취해야 한다는 온건한 입장을 취합니다.

    그러나 이색의 문하에 있던 정몽주는 그의 스승과 달리 불교를 이단으로 규정, 승려들의 무위도식하는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정몽주도 배불정책을 내세우지는 않았고 개인적으로 승려와 교류하는 등 온건적 입장에 있었습니다.

    고려 말 문신 중 가장 극단적인 배불론자는 정도전으로 정도전 역시 이색의 문하에서 정몽주와 수학했던 인물인데 고려 말 시대 상황을 인식하는 입장에서 두 사람은 다른 입장을 보입니다.

    정도전은 고려 말 상황을 매우 부정적으로 보며 새로운 질서 수립에 필요한 사상과 이념을 창출해야 한다는 진보적입장으로 그런 그에게 성리학은 고려의 오랜 사상이었던 불교를 정리하고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제공할 매우 유용한 논리적 수단이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학은 중국 한나라 무제 시기에 국가 공인 학문으로 채택되면서, 이후 중국왕조의 핵심 통치이념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한반도의 국가들도 이러한 경향을 따라 삼국시대부터 유학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고려 성종 시대에 이르러 유교 이념이 국가 통치이념으로 확립되었습니다.


    따라서 조선왕조가 유교를 핵심 사상으로 정립한 건 그다지 이상한 점이 아닙니다. 더욱이 고려 말 불교계의 폐단으로 이를 비판하여 등장한 게 성리학이었습니다. 그러니 유교를 채택한 게 당연하지 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건국자들은 성리학을 새로운 왕조의 통치이념으로 채택하여, 도덕적 삶을 실천하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으며

    이성계는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고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채택했습니다. 유교는 왕권을 신성시하고강화 군주에게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는 사상이었기 때문입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가 세습을 꼐속하면서 재물 욕심 죄악에 많이 물들었고 세력이 왕권에 위협될정도로 강해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에 송나라로부터 안향 백이정에 의해 들여온 성리학은 여말선초에 신진사대부를 형성하였고 신진사대부들 중 절의파와 역성혁명파로 나뉘어 격렬하게 논쟁을 하다 절의파의 포은 정몽주가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하면서 삼봉 정도전 등에 의해 조선은 성리학에 기반한 유교국가로 성립됩니다. 이는 기득권 세력이 불교를 믿는 것에 대한 견제적 성격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