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G,테더 등의 변동폭이 적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가상화폐의 변동폭은 주식에 비해 상당히 많은 폭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예를들면 테더,SDG같은 코인들은 가격이 유지되는것이 궁금합니다. 왜 테더와 같은 부류의 코인들은 변동폭이 거의 없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보통 스테이블 코인은 1달러=1코인으로 고정된 형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스테이블 코인이 가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은 주로 3가지가 있습니다.
특정 기관에 달러를 쌓아두고 그만큼 코인을 발행시킨다.
대표적인 예로 USDT, DigixGold, TrueUSD 같은 스테이블 코인들이 있는데 가치 고정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중앙집중화 방식이 단점으로 적용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가 암호화폐를 쌓아놓고 그만큼의 코인을 발행한다.
Dai, Havven같은 스테이블 코인들이 이런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탈중앙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 폭락위험이 존재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자본사용이 단점으로 적용됩니다.
담보 없이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화폐 공급량을 조절한다.
Basecoin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에 담보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구조를 가졌고 성장에 대한 믿음을 필요로 강제존버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 고정은 보통 위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KRW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인 krwb는 첫 번째 방법으로 진행이 된 스테이블 코인이죠 ^^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1달러 기준, 1달러보다 오르면 테더에서 1달러를 예치하고 1테더를 가져와 매도하면 차익이 생깁니다. 반대로 1달러보다 아래일 경우 매수하여 테더측에 돌려주면 차익이 생깁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세 유지를 하고 있습니다. 다른 방식의 스테이블 코인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