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1.19

겨울은 왜 해가 짧아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제 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있느데요~ 그래서 그런지 낮에 해떠있는 시간도 줄어드는거 같습니다. 여름에는 7시까지 밝았던거 같은데 요즘 6시만 되도 어둑어둑 합니다. 겨울은 왜 해가 짧아지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른 낮 길이 변화도 이유 중 하나인데, 남중 고도가 높을수록 낮 길이는 길고, 낮을수록 낮 길이는 짧습니다.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여름에는 더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해 낮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반해 겨울에는 가장 짧 은원 길이를 그려 그만큼 낮 길이가 짧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낮의 길이를 태양이 보이지 않는 시각에서 태양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각을 뺀 간단한 계산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 되면 해가 짧아지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궤도면과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에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에 더 가까워져 낮의 길이가 길어지고, 겨울에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에서 멀어져 낮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해가 짧아지는 이유는 지구의 기울기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공전하는 동안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광선이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각도가 변합니다. 이러한 기울기 변화로 인해 겨울에는 해가 더 낮게 떠오르고 높게 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이 기울기로 인해 한 해 동안 태양의 위치가 변합니다. 겨울철에는 특히 북반구에서는 남쪽으로 기울어져 태양이 높이 떠오르는 각도가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해가 떠오르는 위치가 낮아지고,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이 짧아집니다. 그 결과로 겨울에는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는 것이죠.

    이와 반대로 여름에는 북반구에서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게 되어 태양이 높이 떠오르는 각도가 크게 됩니다. 따라서 해가 높이 떠오르는 위치가 높아지고,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태양이 짧게 뜨고 지는 것은 탸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태양의 남중 고도는 낮 길이 변화를 가져옵니다. 남중 고도가 높을수록 낮 길이는 길고, 낮을수록 낮 길이는 짧습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여름에는 더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해 낮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겨울에는 가장 짧은 원 길이를 그려 그만 큼 낮 길이가 짧죠. 따라서 우리는 낮의 길이를 태양이 보이지 않는 시각에서 태양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각을 뺀 간단한계산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기상청 블로그 - 겨울의 '낮'이 짧은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