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가 안된 부모님은 어떻게 해드려야할까요?
저의 이야기는 아닙니다만
부모님이 노후준비가 안되셔서 이래저래 고생하는 사람들 이야기가 들리더라구요
자식에게 폐가 되기싫어서 카드 단기대출까지 쓰는등등 ..
부모님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를 하게 되면 빨리 더 늙고 아프고 그렇게 된다라고 하지요 평생을 일만 하다가 일거리가 없으면 삶의 의지력도 떨어진다고 합니다 나이가 들면 주변에 사람들도 떠나고 병들고 죽기 때문에 외출도 안 하게 되겠지요
저 같은 경우는 m2e라고 하는 슈퍼 워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루 2시간 정도는 걸을 수 있게 만드는 것인데 약간의 투자금을 만들어서 그것을 그 계정을 부모님께 주고 어디든 걸으면서 돈을 벌 수가 있다면 한 달에 10만 원이든 20만 원이든 스스로 벌 수 있습니다 또한 프라임 오피니언 서베이와 같은 설문조사를 하게 되면 하루에 5,000원 만 원도 수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니 집에서 쉬거나 나가서 종이나 캔을 줍기보다는 스스로 일할 수 있게끔 이와 같은 앱테크를 안내해 드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의 노후준비를 돕기 위해서는 경제적, 정서적 지원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부모님의 현재 재정 상황과 노후를 위한 자산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생활비와 의료비 등을 추산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울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월 단위로 적립할 수 있는 금액을 설정하거나, 연금 상품, 저축성 보험 등을 추천해드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부모님이 경제활동을 원하거나 가능하다면, 이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거나 정보를 찾아드릴 수도 있습니다. 정서적 지원 역시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경제적 어려움은 심리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과 자주 대화하고 안부를 챙기며 의지를 북돋아 드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자식으로서 함께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것만으로도 부모님께 큰 위안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준비는 최소 퇴직 10년 전부터는 준비하셔야하며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한정적입니다.
부동산이 있다면 주택연금을 수령하시는 방법이 있으며 예적금 등 현금성자산이 있다면 이를 활용하여 이표채 등 매월 이자 지급식 상품가입도 있습니다.
일단, 노후준비는 퇴직 전 본인의 자산을 최대한 모으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모님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려고 한다면, 주택연금 같은것을 해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고요. 그것이 아니라면 사적 노후연금 같은걸 들어놓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어쨋든 결국, 수익이 조금더 나는 안정된 상황이 되면 좋으니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노후준비가 안된 부모님에 대한 내용입니다.
어쩔 수 없이 노후 준비가 모자란 부모님에 대한 현금 지원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부모님의 재정상태와 자식의 재정상태 등 정보가 있어야 정확한 답변이 될거 같긴 합니다만
일반적인 가정이라고 생각하고 답변 드리면 우선 부모님께 카드대출 사용의 위험상을 뼈저리게 느낄 수 있도록 설명을 해드려야 됩니다. 그래도 안통하면 솔직히 답이 없습니다. 따라다니면서 못 쓰게 할수도 없고 그럴땐 강하게 나가야 됩니다.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지 못하는 경우이면 그것도 문제인데 좀 심각한 수준이 될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최대한 자식의 도리는 하되 안되면 그땐 어쩔수 없을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모님까지 챙기려고 하면 금전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현재 부모님이
은퇴하신 상황이라면 딱히 용돈 외에는 방법이 어렵습니다
다만 아직 일은 한다고 하면 국민연금을 지속적으로 납부하고 개인연금계좌를 개설하여
세액공제와 향후 연금까지 수령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부모님이 어느정도 연세이신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직장에 다니시는 정도라면 연금저축펀드 가입 등을 추천합니다.
물론 이부분은 50대 초중반 이상이시라면 안하셔도 되구요
혹시나 부모님중에 직장을 안다니셔서 국민연금이 10년이 안되신 분이 있다면 추납제도를 통해 연금을 받게 하는것도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