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5.07

최면 치료는 어떤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건가요?

심리적인 문재가 있거나 어떤 사건의 증요한 목격자가 있으면 최면을 통해 증거를 알아내기도 하던데 최면이라는 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건가요? 어떤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최면 치료는 기존의 정신 분석적 접근법에서 발전된 것으로, 환자의 무의식적인 부분에 집중함으로써 즉각적이고 더 빠른 치료 효과를 보장합니다. 그러나 최면 치료의 실제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며, 과학적인 증거도 부족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최면 치료에서 중요한 개념은 '트랜스 개인'입니다. 이것은 초점과 집중력이 높아져 자신의 내면에 더 많이 집중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최면 치료 중, 환자는 깊은 휴식 상태로 이루어진 '트랜스'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최면치료는 사람의 뇌파를 깨어 있을 때의 ‘베타파’에서 졸리거나 명상에 잠겼을 때의 ‘세타파’로 유도하는 것이 기본 원리입니다. 최면의 기본 원리는 크게 '암시 - 현상 - 기대 - 믿음’의 연쇄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최면 치료는 환자의 의식 상태를 변화시켜, 무의식적인 심리적인 공간에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치료법입니다. 최면 치료의 원리는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허용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무의식적인 부분에 접근하여, 감정적인 블록을 해제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최면 치료에서는 보통, 깊은 호흡, 근육 이완, 집중력 향상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의식 상태를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의식적인 부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최면 상태에서는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거나 느끼는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최면 치료의 정확한 원리는 여전히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론적으로 최면 상태는 뇌파의 주파수와 같은 생리학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무의식적인 부분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7

    안녕하세요.


    최면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법이 아닙니다. 최면은 일반적으로 심리치료나 법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된 신뢰성 있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그 적용이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최면은 주로 '최면상태'라는 특별한 상태를 유도하여 환자나 증인의 기억을 더욱 선명하게 떠올리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보다 더 많은 기억을 떠올리게 되고, 기억력이 강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최면상태에서 떠올린 기억은 항상 정확하거나 신뢰성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최면이 작동하는 원리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최면이 상상력을 자극하거나 증오를 풀어내는 등의 심리적인 요소로 인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른 학자들은 최면이 뇌파나 생체 전류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인해 작동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최면은 현재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면상태에서 떠올린 기억이 항상 정확하거나 신뢰성이 높은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면에 대한 사실상의 공식적인 정의와 기준이 없어, 최면상태가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최면의 원리는 메시지(암시)- 현상- 기대-믿음의 연쇄로 볼 수 있습니다.

    최며가가 최면에 걸린 사람을 조용히 앉아 있도록 한 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후 지금부터 당신의 눈꺼풀은 천천히 닫힐 것입다 라고 말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쉬운 암시로 눈이 감기는 것은 생리적으로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일어나기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