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철은 한국 음악사의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과거에 많이 좋아했던 가수는 신해철입니다. 어렸을 적부터 신해철 노래를 듣고 살아왔고 같은시대를 살았지만 그가 남긴 발자취에대하여는 정확하게 알지 못합니다. 한국 음악사에서 신해철이 끼친 영향은 어떠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록음악 부터 재즈, 테크노, 하드록, 발라드, 심지어는 국악까지 프로듀싱 했던 사람입니다. 특히나 지금 가요계에서는 찾아볼수없는 철학적인 가사들로 90년대 음악의 최정점을 찍었던 사람입니다.
당시의 한국 가요계를 고려한다면 상업적으로도 상당한 성공을 거둔 뮤지션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의 도전적인 음악들이 지금의 가요계의 기반을 닦아 놓았다고 볼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해철은 그가 프로듀싱하는 싱어 또는 밴드를 파트너로 대우하며 앨범 한장으로 최대치의 성과를 뽑아내기 보다 그 가수나 밴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생력을 키워주는 것을 지향합니다.
또한 다양한 부분에서 혁신적이고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했으며 대표적으로 오늘날 K-POP의 기반이 되는 MIDI 음악의 선구자 겸 개척자 라 할수 있습니다.
솔로 2집 myself는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최초로 MIDI를 적극 활용하여 작업, 녹음했으며 이 앨범 또한 크게 히트했던 앨범이며 이 앨범 이후로 대중들의 음악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낮아지고 다양한 신인 아티스트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앨범 발표 당시 신해철은 아이돌과 같았다. 무한궤도부터 시작해 2장의 솔로 앨범을 낸 그의 인기는 여느 톱 가수와 다르지 않았다. 운동화 광고를 찍고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우리는 하이틴」과 「밤의 디스크쇼」 DJ를 맡으며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었다.
신해철은 인기만 얻은 게 아니라 음악성까지 높이 평가받기 시작했다. 특히 2집 「Myself」에서 미디를 바탕으로 만든 실험적인 사운드와 함께 <재즈카페>,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같은 히트곡을 배출하며 음악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는 성과를 올렸다.
<나에게 쓰는 편지>, <50년 후의 내 모습>에서 들려준 시대를 앞서간 사운드, <길 위에서>에서 선보인 철학적인 가사는 신해철이라는 가수가 얼마나 치열하고 진지하게 자신의 음악을 완성해가고 있는지 보여줬다.
「'91 Myself Tour」는 1991년 현대음향에서 LP, 지구레코드에서 CD로 발매했다. 이듬해인 1992년 대영에이브이에서 같은 재킷의 CD 버전을 재발매하기도 했다. 이 음반은 신해철의 음악적 치열함과 진지함을 고스란히 담은 라이브 앨범이다.
그는 방송 활동에만 기대지 않고, 어린 시절부터 그가 우상으로 삼은 뮤지션들이 그랬듯 전국 투어를 시작했다. 1991년 10월 20일 대구 공연을 시작으로 부산, 서울, 광주를 도는 공연이었다.
이 앨범은 미디로 만든 작품이지만, 신해철은 전국 투어의 오랜 꿈을 이루기 위해 정기송(기타), 김영석(베이스), 이동규(드럼), 장기순(키보드), 박진원(키보드), 이정식(색소폰)으로 구성한 투어 전문 밴드를 꾸렸다.
당시 한겨레신문은 신해철의 전국 투어 소식을 전하면서 이 팀을 ‘소리 혁명’으로 소개했다. 이 밴드 멤버들은 이후 신해철과 오랜 인연을 맺게 된다.
정기송과 이동규는 넥스트 창립 멤버로 첫 앨범을 발표했고, 밴드 하얀그림자를 이끌었던 김영석은 이후 넥스트 2기로 신해철과 전성기를 함께했다.
이정식도 꾸준히 신해철과 교류하며 넥스트의 명곡 <The Ocean: 불멸에 관하여>에서 투명한 플루트 연주를 들려줬다.
이 앨범에는 신해철 솔로 앨범에 수록한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안녕>, <재즈 카페>,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 등 인기곡을 망라했다. 미디 사운드가 중심이 된 앨범에 비해, 밴드 연주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조화시켜 라이브의 맛을 살렸다.
노래마다 터져 나오는 팬들의 함성과 합창은 당시 신해철의 인기를 보여준다. <나에게 쓰는 편지>에서 각 멤버들의 솔로를 짧게 들려준 뒤 <안녕>으로 이어지는 연주는 라이브 앨범만이 보여주는 묘미다. 신해철의 노래는 자신의 명곡들을 소화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이 앨범에는 휘트니 휴스턴의 <The Greatest Love Of All>과 레인보우의 <Rainbow Eyes> 등 2곡의 커버곡을 수록했다. 전혀 다른 정체성을 가진 뮤지션의 두 노래를 한 공연에서 커버하는 모습에서, 아이돌과 아티스트를 아우르는 신해철의 위상이 드러난다.
밴드는 신해철이 어린 시절부터 품었던 오랜 꿈이었다. 레인보우의 <Rainbow Eyes>를 부르기 전에, 신해철은 “제가 고등학교 때 밴드를 할 때 친구들하고 자주 부르던 노래가 있었는데 그 노래를 여러분들에게 불러드리겠습니다”라고 소개했다.
이 라이브 앨범 발표 후 신해철은 솔로 가수로서의 성공을 뒤로하고 밴드 넥스트를 결성했다. 이 음반은 최고의 인기 가수 신해철과, 밴드를 꿈꾸던 신해철의 모습을 모두 담았다. 장차 1990년대를 대표하는 밴드로 성공할 넥스트의 모습을 미리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앨범이다.
출처 : 가요앨범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