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글 이전에는 한자로 글을 사용했나요?
옛날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글 이전에는 글을 모르는 사람이 굉장히 많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글 이전에는 글을 쓸수 있는 사람은 한자로 의사소통을 했을까요? '안녕하세요'가 5글자라면 5글자의 한자를 사용해서 소통을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한글이 발명되기 전에서는 한자를 차자하여 우리말을 표기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향찰과 이두, 구결입니다. 향찰은 신라 시대에 표기법으로 한자의 음과 뜻을 우리말로 적었습니다. 이두는 주로 관청에서 사용하는 표기법으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사용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한글 이전 우리나라 말을 문자로 표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두가 널리 쓰였습니다.
이두 한자의 음훈을 활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합니다. 즉, 뜻빌림과 음빌림이 있는데 삼국시대 때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최종 형태는 통일신라에 이르러 굳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방식은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백성들은 한자를 몰라 이런 이두의 사용조차 지식인층에 한정되는등의 한계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