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수수한숫돌23
수수한숫돌23

물은 왜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늘어나게 되나요?

물은 다른 물질들과는 달리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늘어난다고 하는데, 왜 물은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늘어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면서

      부피가 감소합니다.

      물은 예외적으로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약 9% 정도 늘어납니다.

      이는 물 분자의 특별한 구조와

      수소 결합이라는

      강력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물 분자는 쌍극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쪽 끝은 양전하 다른 쪽 끝은 음전하를

      더 많이 가지고 있어 전기적 양극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쌍극자 구조는 물 분자 사이에

      강력한 인력인 수소 결합을 형성하게 합니다.

      수소 결합은 음전하를 띠는

      산소 원자와 양전하를 띠는 수소

      원자 사이에 형성되는 강력한 인력입니다.

      물 분자는 여러 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물에 높은 끓는점과

      녹는점을 부여합니다.

      물이 어는 과정에서 물 분자들은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결정 구조는 육각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빈 공간

      을 많이 포함합니다.

      액체 상태의 물 분자들은 무작위로

      움직이지만 고체 상태

      에서는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빈 공간이 더 많아집니다.

      규칙적인 결정 구조 형성으로 인해 빈 공간이

      증가하여 물의 부피가 늘어납니다.

      수소 결합은 물 분자를 더 밀착시키려는

      힘을 작용규칙적인

      구조 형성으로 인한 빈 공간 증가 효과가

      더 커서 부피가 늘어납니다.

      물의 부피 증가는 빙하 형성과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미칩니다.

      만약 물이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감소한다면

      빙하의 양이 줄어들고 해수면이 낮아질 것입니다.

      물이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늘어나는 이유는

      물 분자의 쌍극자 구조와 수소 결합 그리고

      규칙적인 결정 구조 형성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지구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할 때 부피가 늘어나는 이유는 물의 분자 구조 때문이에요. 물의 분자 구조는 특이하게도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보다 더 넓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이 일어나요.

      고체 상태에서는 입자들이 서로 가깝게 밀착되어 있어 부피가 작지만, 액체 상태에서는 입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부피가 더 커지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물은 어는 과정에서 액체로 변할 때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온도가 내려가면 고체인 얼음으로 되는 과정에 물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나열되면서 분자들 사이에 공간이 생겨 부피가 늘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면서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은 특이한 성질을 가진 물 분자의 구조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물 분자의 구조 변화: 물은 액체 상태에서는 무작위로 움직이는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그러나 물이 얼음으로 변하면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정육면체 모양의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규칙적인 배열로 인해 물 분자들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2. 부피 증가: 얼음은 액체 상태보다 분자 간 거리가 더 가깝습니다. 따라서 물 분자가 얼음으로 배열될 때 빈 공간이 늘어나게 되며, 이로 인해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이 현상은 물이 0도에 가까워질수록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런 물의 특이한 성질은 물이 생명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물은 높은 열 흡수력과 기름과는 결합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