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포세이돈
포세이돈22.11.23

작년 1월달에 위 대장내시경 검사했는데

나이
51
성별
남성

추가질문입니다 작년 1월달에 위 대장내시경을 했는데 그때 위는 위축성위염하고 대장은 작은 용종 1갠가 제거했는데 오늘 대변보다가 붉은색 피가 많이 나왔습니다 통증은 없었습니다6~7년전에 치질수술을 한 이력이 있습니다 여쭤보고싶은 말은 내시경 검사후 2년안에 대장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요즘 걱정이 좀 많아서 추가 질문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상황만으로 정확한 판단은 어려우며 추측만 가능할 뿐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용종 제거를 한지 2년이 지났다면 해당 부위 출혈의 가능성은 낮아 보이며 치질로 인한 혈변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진료 후 검사결과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4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혈변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혈변에 대한 내용은 이전 질문에 답변을 드린 것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대장 내시경 후에 2년안에 대장에 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을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짧은 기간내에 암과 같은 안좋은 질환이 갑자기 발견되는 경우는 잘 없기 때문에 검진을 주기적으로 하라고 권유를 드립니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빠른속도로 자라나는 암인 경우 2년전에는 정상이었는데 갑자기 진행되어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치질이 혈변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합니다.

    미리 너무 걱정하시지 말고 항문외과나 소화기내과 진료를 보시길 권유드릴게요.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위내시경 주기는 1-2년, 대장내시경 주기는 3-5년 정도로 잡습니다. 이렇게 주기를 설정하는 이유는 검진을 했으면 위는 1년 안에, 대장은 3년 안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혈변 등 피가 묻어나오는 상황이라면 치질의 재발이나 대장의 문제를 감별 진단하기 위해 내원해서 진료 받으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