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살가운알파카156
살가운알파카156
19.11.27

전기차 제동장치 라이닝과 디스크페드가 있나요?

Q

전기차는 일반자동차 에 타이어 휠 내부에 있는

제동 장치에 라이닝 과 디스크페드 가

있는데 전기차에도 있는지요?

없다면 제동은 어떻게 하는지도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청렴한가오리296
    청렴한가오리296
    19.11.28

    전기차 제동방식에 대한 질문이네요 ㅎㅎ

    간략하게 답변 드려볼까 합니다.

    전기차는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와 다르게 제동시 발생하는 부하를 베터리 충전에 사용하는

    '회생브레이크'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방식으로만 100% 제동이 불가능하기에 전력량 제어를 통해 일정 수준까지 속도를 떨어뜨린 후 유압으로 제동을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는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싶을 정도로 소모가 적습니다.

    최종적으로 정리하자면

    전기자동차도 브레이크 패드가 사용되며 전력량을 제어하는 회생브레이크와 겸용으로 사용되어 브레이크 패드 소모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상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모터에 의한 전기제동과 디스크 패드 모두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승용차는 유압을 활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오일에 유압이 전달돼 패드와 디스크가 마찰하면서 차가 멈추는 식이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중심으로 회생브레이크가 적용되고 있다. 회생브레이크는 친환경차가 제동할 때 발생하는 부하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동시에 이를 회수해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를 뜻한다.

    쉽게 말해 브레이크페달을 밟았을 때에도 자동차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계속 앞으로 달리려고 한다. 회생브레이크는 이 과정에서 남아있는 운동에너지를 회수해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다.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이런 회수작업 없이 제동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그냥 방출했지만 전기차·하이브리드 차량 등은 이 에너지를 배터리 충전으로 활용하고 있다.

    실제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순간 모터의 전류를 차단하고 자동차의 바퀴를 발전기로 활용해 모터를 역으로 구동한다. 물론 모터의 부하만으로 완벽한 제동을 구현할 순 없다. 이 때문에 기존 유압을 이용한 기계적 제동도 함께 진행된다.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해 차량을 일정 수준까지 감속하게 한 후 기계적 제동이 개입해 최종적으로 차량을 정차시키는 방식이다.

    이런 이유로 회생브레이크가 적용된 전기차 등은 브레이크 패드 마모 속도가 상당히 늦다. 일각에서는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