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개운한쿠스쿠스168
개운한쿠스쿠스16822.04.29

턱이 저절로 움직이는데 그때마다 상하악 견치가 맞물려서 치아가 점점 눕고 있습니다

이럴땐 어디를 중점으로 보는 과를 가야 할까요?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파노라마 촬영했을 때 턱관절에 문제는 없다고 하셨었는데요,

일단 저의 문제

1. 제가 턱이 중학교때 빠진 뒤로 무지해서 10년 넘게 방치했더니 지그재그로 열립니다.

2. 2급 부정교합(개방교합)이라 상하악 앞니가 맞물리질 않아요

너무 문제가 많긴 한데 사정 상 현재 교정은 하지 못하고 일단 턱이 저절로 움직이는 문제라도 좀 해결하고 싶습니다. 치아가 점점 눕고 있고 잘 때도 움직이면서 부딪혀서 치아가 너무 아파요. 이러다가 치주인대에 문제 생길까도 걱정되구요..

스플린트도 맞출 형편은 못됩니다.

턱보톡스라도 맞아야 하는건지, 아님 아예 신경외과를 가야 할까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치아가 과도한 교합을 하게 되면 이동을 할수 있습니다.

    안정된 교합을 찾는것이 중요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치과병원의 구강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개방교합이라면 양악 수술의 가능성도 열어두셔야 합니다. 파노라마 촬영 시 턱관절 문제는 없다면 현재 개방교합으로 인하여 치열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개방교합은 정도에 따라서 교정 치료로는 불가능하며 양악 수술을 동반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순히 턱보톡스 및 스플린트를 사용한다고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전반적인 교합 및 치열에 대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턱관절에 문제가 잇다면 구강외과 보다는 구강내과를 가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그리고 턱관절로 인해서 외상성교합 즉, 치아가 쓸때없이 교합되서 그런 문제가 생길수도 있으니 구강내과에 가셔서 검사를 받아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4.29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턱관절 질환은 교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치과의 구강악안면외과(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에서 진료 가능합니다.

    측두하악 관절 장애는 측두하악 관절에 염증이 생기거나 탈구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원인은 나쁜 습관(단단하고 질긴 음식, 앞니로 손톱 뜯는 습관, 이를 꽉 깨무는 습관, 이를 가는습관 음식 편측저작, 턱괴기) 외상, 교합 부조화,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우울, 긴장, 신경과민)이 있습니다.

    증상은 저작시나 하품할때 통증, 관절잡음, 하악운동제한 관절염, 강직 탈구, 턱, 주변 근육, 잇몸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치료는 교합안정장치(스프린트),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이 있습니다.

    예방법으로는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제한 합니다. 음식을 양쪽으로 골고루 씹습니다. 입을 갑자기 크게 벌리지 않습니다. 무리한 턱관절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긴장완화를 위한 이완운동을 합니다.

    턱관절 질환에 보톡스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턱통증에 효과를 볼수 있으며 치아건강에도 이롭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