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검소한여치63
검소한여치6320.09.13

수축기 혈압이 160이 넘어가는데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나요?

수축기 혈압이 160이 넘어가는데 현재 별다른 증상은 없습니다. 유전적으로나 다른 이유로 혈압이 높은 채로 건강할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혈압이 높게 나온 것은 5년 정도 됐고 나이는 40다 초반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장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으로 인한 증상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으면서 관리를 하지 않을 때는 증상이 안 나타난다고 안심 할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의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장기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고혈압에 의하여 혈관이나 장기의 손상이 천천히 오기 떄문 입니다.

    과거 수많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고혈압이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및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자료로는 남성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을 6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에 따르면, 평균 혈압이 140/90mmHg 이상인 환자는 130/85mmHg 미만의 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심뇌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이 2.6배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특히 남성 10만 명에서 뇌출혈의 발생을 관찰하였을 때, 135/85mmHg를 기준으로 혈압이 높을수록 뇌출혈의 발생은 증가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20mmHg 상승할 때마다 뇌내출혈과 지주막하 출혈은 각각 남성의 경우 2.48배, 1.65배, 여성의 경우 3.15배, 2.29배 높아지는 것이 밝혀진 바 있습니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신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초기에는 단백뇨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점차 악화되어 신경화증, 만성 콩팥병, 요독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에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안구 내의 미세혈관이 좁아지고 혈관벽이 두꺼워집니다. 이후 혈관이 막히거나 출혈이 발생하면 시력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그 외에도 말초혈관질환(팔, 다리 혈관의 혈류장애), 대동맥류(대동맥 혈관 벽이 주머니처럼 늘어난 것), 대동맥 파열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무서운 결과물들이 있습니다. 부디 증상이 없다고 관리 없이 살지 마시고 가까운 내과, 가정의학과에서 의사를 만난 후 치료 시작 하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은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지병입니다.

    당장은 특별히 증상이 없어도, 고혈압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우리가 시력이 안좋으면 안경을 끼듯 고혈압약을 통해 혈압 조절에 도움을 받으신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약 꾸준히 잘 복용하시며, 혈압 측정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