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망토,투명인간. 은 앞으로 더 발전하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영화에서나 등장하는,
투명망토
투명인간은
현재가 아닌 앞으로 발전되면 나올수 있는 실전가능할까요?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과학기술이 발달한다면 투명망토도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빛을 반사시켜 외부와 동일한 조건을 만들어주면 가능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 광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특정 각도에서 빛을 반사하거나 굴절시키는 장치가 개발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각도에서만 보이지 않게 되거나 주변 환경과 융화되어 보일 수 있는 일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 스티디 카메라와 같은 영상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 영상 처리와 합성이 가능해집니다. 이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을 캡처하고 그것을 자신의 몸에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투명 인간"처럼 보일 수 있는 시각적인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투명인간은 앞을 못 볼 것이라네요 - 왜냐하면 몸의 모든 세포가 투명해지면 - 시신경도 투명해져서 빛이 망막을 그대로 통과해서 - 망막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지 못한다네요 - 그래서 투명인간이 앞을 보려면 눈만큼은 투명하지 말아야 한답니다. - 만일 투명인간이 이 세상 어딘가에 실존한다면... - 남들도 자신을 볼 수 없지만 자신 또한 남들을 못 보게 되어버리는, - 분명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 그런 존재가 아닐가요? - 혼자서 고립된 거나 마찬가지인 이 사람의 삶이 - 그리 행복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 현재의 과학 기술로는 투명한 망토나 투명한 인간을 만들어내는 것은 매우 어렵거나 현실성이 낮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기술의 발전과 연구에 의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을지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 투명한 망토에 대해서는 "투명망토"라고 불리는 광학 재료를 사용하여 빛을 굴절시켜서 주변의 물체가 투과되는 듯한 효과를 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와 유사한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를 완전히 투명하게 만드는 것은 아직까지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광학 및 나노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열릴 수는 있습니다. - 또한 투명한 인간을 만들어내는 것은 생체 과학과 기술의 혁신이 필요합니다. 인간의 몸은 피부, 근육, 뼈 등 다양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순히 투명한 물질로 모든 조직을 가려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게다가 투명한 물질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내부의 기관, 혈관 등이 노출되어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 우리는 미래에 혁신적인 기술 발전이나 새로운 발견에 의해 이러한 분야에서 놀라운 진전을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투명한 망토나 투명한 인간은 과학상의 어려움과 기술적 제약 때문에 실전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 투명망토 - 투명인간은 - 현재가 아닌 앞으로 발전되면 나올수 있는 실전가능할까요? - 투명인간은 아마도 어렵겠지만 투명망토는 빛의 반사나 굴절등을 이용해서 현재 약간의 성과를 보여준 예가 있으므로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