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에서 빛이 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얼마 전에 시골에 갔다가 반딧불을 본 적이 있어요. 정말 예쁘던데 이렇게 반딧불이 빛을 내면서 다니는 원리는 어떤 원리인가요? 정말 신기하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은 발광성을 가진 곤충으로, 빛을 내는 원리는 생물화학적인 반응에 기반합니다.
반딧불은 신체에 있는 특별한 조직인 '루시페린 세포'에서 빛을 내는 화학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 화학 반응은 루시페린 세포 안에 있는 루시페라제 효소에 의해 촉매되며, 산소와 ATP등의 화학 물질이 관여합니다.
루시페린 세포 안에 있는 루시페린과 산소가 반응하면, 활성산소 중 하나인 활성화된 산소라디칼이 생성됩니다. 이 활성화된 산소라디칼은 루시페라제 효소에 의해 산소와 ATP와 반응하여 황산과 CO2, 빛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빛 에너지가 반딧불의 꼬리 부분에 있는 발광 조직을 통해 방출되어 빛을 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