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건장한앵무새53
건장한앵무새5322.10.03

우주는 암흑인데 우리가보는 하늘은 왜 파란색인가요?

우리가 아는 우주는 검은색인데 하늘을 보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래서 우주에서 지구보면 파란것도 같은 원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03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것은 빛은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지구로 오면서 질소와 산소등의 대기에의해 굴절됩니다. 여러 가시광선의 색중에 파란색 계열(파남보)은 파장이 짧아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하늘에서 모두 산란 됩니다. 산란된다는것은 물감을 칠하듯이 모두 사방으로 퍼진다는 의미입니다. 하여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대기 중의 분자들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특히, 짧은 파장의 빛(파란색)이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 반면, 우주는 거의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빛이 산란되지 않고 그대로 직진합니다. 따라서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하늘이 파랗게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주에서 별을 바라볼 때 하늘의 색이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은 맞습니다. 이는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방향에서는 대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로부터 날아오는 태양빛이 우리 지구의 공기분자들과

    부딪혀 산란되고 굴절되어 푸른빛만 우리눈에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 파란 이유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우주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하늘이 파란 이유는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 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우주가 암흑인 이유는 빛을 반사할 고체가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