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얌전한갈매기267
얌전한갈매기26724.02.24

왜 하늘은 검은색이 아니라 파란색인가요?

우리 위에 있는 우주는 눈으로 봤을때 검은색인데 정작 우리가 보는 하늘은 파란색에 가깝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은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파란색 빛은 다른 색상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 빛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되는데, 이때 파란색 빛이 다른 색상보다 더 많이 산란됩니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가을철이 되면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권에 들게 되어 파란색을 더욱 산란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가을의 하늘은 더욱 높고 파랗게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더 많은 대기층을 뚫고 들어오는 아침과 저녁의 태양빛에 의한 하늘은 붉은색 노을을 보이기도 합니다. 하늘이 파란색으로 아름답게 펼쳐지는 이유는 자연의 아름다움 중 하나로, 태양 빛이 대기와 상호작용하는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검은색이고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우주는 별과 은하 등 빛을 내는

    천체가 있지만 광활한

    공간 대비 빛의 양이 매우 적습니다.

    우주에는 먼지와 가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물질은 빛을 흡

    수하기 때문에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우주는 매우 광활하며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는 데 오랜 시

    간이 걸립니다.

    그 과정에서 빛은 에너지를 잃고

    희미해져 버립니다.

    태양빛은 여러 색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빛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 대기 분자에

    의해 산란됩니다.

    파란색 빛은 다른 색 빛보다 파장이 짧아서 더 많이

    산란됩니다.

    산란된 파란색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란

    색으로 보입니다.

    지구 표면은 태양빛의 일부를

    반사하며 이 반사된 빛 중

    에는 파란색 빛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가 지평선 가까이에 있을 때는

    태양빛이 대기권을 더 긴 거리

    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붉은색 빛이 더 많이 우리 눈에 들어옵니다.

    우주가 검은색이고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빛의 양 빛의 산란 지구

    표면 반사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하늘의 색깔은 파란색인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보는 하늘은 실제로는 검은색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보는 하늘은 지구의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현상 때문입니다. 지구의 대기권은 여러 가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가스는 질소와 산소입니다. 이 가스들은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는데 이 때 파란색 빛이 가장 많이 방출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태양이 지나가면서 빛이 약해지면 우리가 보는 하늘은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지구의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현상 때문에 우리가 보는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은 빛의 산란 현상으로 인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의 빛이 혼합되어 있고, 파장이 짧은 빛일수록 더 많이 산란됩니다. 파란색은 빨간색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