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4.30

외래종이 왜 생태계를 파괴하나요?

요 근래에 외래종이 생태계를 교란시킨다는 뉴스글들을 종종 접했는데, 외래종이 어떻게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나요?

단순히 개체수가 더 늘어나서 그런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래종은 현지종과 경쟁하여 생존에 대한 현지종의 경쟁력을 약화시킵니다. 외래종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더 큰 개체 크기, 빠른 번식, 빠른 성장 등의 경쟁력을 가지기 때문에 현지종의 존재 가능성을 낮춥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래종은 생태계에 속하지 않는 식물이나 동물로, 자연스러운 분포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인위적으로 도입된 종을 말합니다. 이러한 외래종은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어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외래종이 생태계에 침입하면서 기존의 생물군집과 경쟁하거나 약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래종은 생물군집 내에서 자신의 적절한 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을 하게 되는데, 이는 기존의 생물군집의 종의 수나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외래종은 기존의 생물군집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의 상호작용을 변경시키고, 이로 인해 생태계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래 식물이 생물군집 내에서 자신의 적절한 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번식을 촉진시키면서, 생물군집 내의 다른 종들의 번식을 억제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래종은 원래 국내에서는 서식하지 않던 외국 생물종을 말합니다.

    외래종이 국내 생태계를 파괴하는 이유 중 하나는 번식력과 적응력이 강하여 분포역과 개체군이 급격히 증가하고, 뛰어난 식성으로 토착종과의 서식지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해당 생태계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로는 해당 외래종이 유입된 지역에는 천적이 없는 상황이다 보니 초기에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일부 외래종은 공격력이 강한 육식성으로 국내의 토착종을 과도하게 섭식하여 토착종의 감소를 초래합니다.

    이후 해당 외래종의 천적이 발생하면 점차 생태계에 편입되기도 하지만 그 때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래종이 생태계를 무너뜨리는건 바로 개체수를 조절하기위한 천적이 없기 때문에 먹이를 무한정 잡아먹어,

    먹이가 되는 생명체의 멸종위기를 초래하고, 천적이 없기에 그 개체수가 무한정으로 늘어나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잘 알려진 외래종은 베스,블루길, 황소개구리 정도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