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을 치우지 않는 아이에게 책임감을 심어주는 방법은?
장난감을 치우지 않는 아이에게 책임감을 심어주려면 어떻게 훈육할수 있을까요? 장난감 치우지 않고 가는 아이땜에 스트레스네요~
아이가 장난감을 가지고 논 후에 정리가 되지 않아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에게 관찰한 상황을 이야기 해줍니다.
그런 후에 부모의 감정을 전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놀이를 한 후에는 가지고 논 물건은 정리해줬으면 좋겠어' 라고 부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와
C놀이를 하고 난 후 D놀이를 할 때는
C놀이에 사용한 물건을 모두 정리한 후에 D놀이를 할 수 있다고 약속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함께 정리 규칙을 만들고 놀이 후 정리 시간을 정해보세요. 장난감을 치울 때 칭찬하고 놀이의 마지막 단계로 정리를 포함하여 책임감을 자연스럽게 길러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함께 장난감 정리 규칙을 정하고, 치울 때마다 칭찬하며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세요. 놀이가 끝난 후 정리하는 습관을 꾸준히 유도해 책임감을 키워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장난감을 치우지 않는 아이에게는 치우는 것이 놀이의 마지막 단계임을 알려주고, 정리 시간을 놀이처럼 만들어 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장난감을 가지고 노느것은 잘하지는 정리 정돈에 대한 중요성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정리 정돈을 해야지 다음 놀이를 할 수 있다고 교육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은 정리 정돈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되면서 서서히 스스로 정리 정돈을 하게 된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장난감을 치우지 않는 아이에게 책임감을 심어주는 것은 조금 어려운 일이지만, 몇 가지 방법으로 도와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접근 방법을 고려해보세요: 장난감을 치우는 것은 집안의 규칙으로 정하세요. “장난감을 다 쓴 후에는 반드시 치워야 해”라는 식으로 간단하고 명확한 규칙을 만들어 줍니다. 부모가 장난감을 치우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우기 때문에, 직접적인 예를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놀이가 끝난 후에 장난감을 치우는 시간을 정해 보세요. 일관된 루틴이 형성되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잘 치웠을 때는 꼭 칭찬해 주세요. “오늘 장난감을 잘 치웠구나! 정말 고마워”라는 식으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에게 장난감을 치우는 것이 자신의 책임이라는 점을 설명해 주세요. “너가 사용한 장난감이니, 너가 치워야 해”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세요. 장난감을 치우는 것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만들어 보세요. 타이머를 설정하고, 시간을 정해두고 얼마나 빨리 치울 수 있는지를 도전하는 식으로 접근하면 더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장난감을 자주 잘 치우는 경우 작은 보상을 주는 체계를 만들어 보세요. 일정한 횟수마다 보상을 주면 아이의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장난감을 치우지 않으면 생길 수 있는 불편함이나 문제를 설명해 주세요. “장난감이 바닥에 있으면 넘어질 수 있어”와 같은 방식으로 상황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 아이가 책임감을 가지고 장난감을 치울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지도해 보세요!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아이를 양육하시는 데에 참조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함께 매일 정리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좋은 습관은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해야 합니다.
정리 정돈을 잘 할 때는 칭찬과 보상을 통해서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 시켜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