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이미지분석에대해궁금합니다..
쳇지피티에 저의얼굴셀카사진을 올리니 처음에는 눈이 좀 크다라고했다가 다시물어보면 보통이다 잔잔하다 이렇개 대답해서 의견이 다를때가있습니다 사람얼굴을 분석하는건 아직 못해서그런건지궁금합니다 어떤 대화나 논리분석은 사람보다 감정없이 객관적으로 잘하지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주관적인 기준의 차이 : 눈이크다와 같은 표현은 사람마다 느끼는 기준이 다릅니다. AI 모델 역시 학습된 데이터 셋 내에서 어떤 것을 크다고 정의했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수있습니다. 질문을 다시 했을때, AI가 이전 답변을 기억하지 못하고 새로운 문맥으로 인식하여 다르게 분석할수도 있습니다.
모델의 다양성과 버전 차이 : 같은 챗봇 앱 내에서도 내부적으로 여러 이미지 분석 모델을 사용하거나, 업데이트된 모델은 이전과 다른결과를 낼수있습니다.
분석의 초점 변화 : 잔잔하다는 눈의 크기보다는 표정이나 인상에 대한 분석일수있습니다. AI가 질문의 미묘한 차이를 해석하여 분석의 초점을 달리하면 다른 결과가 나올수있습니다.
정성적/정량적 정보 처리의 차이 : 인공지능은 데이터에 기반한 정량적인 분석(예:나이,피부의 특정 요소 수치 등에는 매우 뛰어나지만,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는 아름다움이나 크다와 같은 정성적, 주관적인 요소에 대해서는 아직 일관된 인간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인공지능은 논리적인 대화나 데이터 분석에서는 객관적이고 일관적인 결과를 잘 내지만 사람 얼굴의 특징 처럼 주관적이거나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부분에서는 아직 더 발전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질문 방식이나 모델의 세부 설정에 따라 다른 답변을 줄수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이미지를 한개가 아닌 여러개를 반복적으로 학습시켜서 질문했을 때 가장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긴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얼굴 사진을 분석하는 기능은 일부 가능하지만 완전히 얼굴을 인식하거나 정확한 판단을 하는 분석은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오남용 방지를 위해 얼굴 인식 기능 자체가 제약되고 있으며 이미지 분석은 현재 기술과 정책적인 제약으로 인해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기에는 제약이 따릅니다. 따라서 눈 크기가 매번 다르게 해석하는 차이는 ai 가 인지하는 특정 요소가 사용 환경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는 결과로 볼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