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순수한돼지69
순수한돼지6921.04.01

콜린성 두드러기는 완치가 되나요?

땀이 나면 온몸이 가렵고 따끔거리는데 항히스타민제는 10년 장기복용하였고 너무 심할때는 경구용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데도 여전히 차도가 없네요 완치가 힘든 알레르기 질환인지요?너무 괴롭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를 유발할수 있는
    과도한 운동, 뜨거운 물로 하는 목욕, 스트레스 등
    상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상황을 완전히 피하기는 어려우므로
    증상 예방 및 조절을 위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합니다.

    생물학적제제인 오말리주맙(졸레어)이
    만성/콜린성 두드러기에 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아직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고비용이 소요됩니다.

    수개월-수년 뒤에 증상이 없어지도 하지만,
    치료에 대한 반응, 지속 기간 등이 매우 다양해서
    담당 의료진과 꾸준히 상의하셔서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질문자님의 쾌유를 빕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4.03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만성 두드러기의 일종입니다. 사람에 따라 굉장히 오래 (수년 이상) 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치료는 만성 두드러기에 준해서 항히스타민제라는 약을 복용하여 증상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약을 먹는다고 한번에 완치되는 치료는 아직까지 없습니다. 처음에는 하루에 두번씩 꾸준히 먹다가 증상이 없으면 하루한번, 그담에는 이틀에 한번, 최종적으로는 증상이 올라올 때나 운동 전, 사우나 전 예방적으로만 복용하는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치료목적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몇년간 오래 복용하여도 보통 문제가 되지 않는 안전한 약에 속합니다.

    이미 10년이상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셨는데도 증상이 심하시다니 환자들 중에서도 정말 오래가고 심한 경우에 속합니다. 많이 힘드시겠습니다ㅠㅠ

    일단 위에 언급드린 항히스타민제가 1차 치료는 맞습니다. 단 증상조절이 항히스타민제로 한계가 있는 경우 최신치료로 나온것 중에 오말리주맙(상품명 졸레어)이라는 주사치료가 있습니다. 4주 간격으로 피하주사를 맞는다는 것과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시도 해볼만한 치료입니다. 대학병원급에서 취급하니 대학병원피부과에 한번 내원해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윤대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콜린성 알러지는 약물치료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결국 증상이 발생 했을때 약물을 복용해 줘야 하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즉 과도한 운동이나 뜨거운 물에서의 목욕을 피해주는 것이 좋겠고 만약 이런 상황이 발생 할 것이라고 예상 된다면 예방적 항히스타민제 복용을 해주어야 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로 많이 고통받고 계시는군요..

    콜린성 두드러기는 완치는 어렵고 조절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최대한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나 뜨거운 목욕 등으로 체온이 상승되는 경우에 발생하므로 가능하면 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좁쌀 같은 두드러기에 가려움보다는 따가운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징적인 병력으로 진단할 수 있고 운동 유발 시험, 메타콜린 피부시험 등을 시행해 확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1-2시간 내에 호전되며 건강에 위협적이지 않지만 일상생활에 불편할 정도로 심한 경우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을 복용해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체온이 높아질때 생기는 두드러기로 문의주셨습니다
    열을 쐬거나 (샤워 혹은 매운 음식 복용 등) 갑작스러운 정서적 자극을 받아 체온이 높아질 때 나는 콜린성 두드러기로 의심이 됩니다.
    콜린성두드러기의 원인은 정확하지 않지만, 체온이 올라갈 때 땀을 내어 체온을 조절하는 신체 반응과 관계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우선 콜린성두드러기를 막기 위해서는 회피요법으로 운동, 목욕 등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하길 권해드립니다.
    이런 상황을 회피함에도 두드러기가 발생했다면 항히스타민제 복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근처 피부과 내원하셔서 진료보시길 권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콜린성 두드러기 때문에 오랜 시간 고생을 하신 듯 합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완치 방법이 있지 않습니다. 증상이 심할 때마다 약을 드시면서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최선이지요. 다소 답답하시더라도 땀이 나거나 체온이 오르는 상황을 가급적 피하면서 관리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