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2.10.23

소화기가 불을 끄게하는 원리가 무엇일까요?

요즘에는 각 가정마다 소화기 하나쯤은

비치해두고 있는걸로 아는데요.

사용법은 간단해서 무리는 없습니다.

소화기는 어떤 원리로 불을 끄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3

    대부분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는 분말소화기이며 이 성분은 인산암모늄이 주성분입니다. 불과 만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어 산소투입을 차단하게됩니다. 산소가 차된되면 불이 살지 못하므로 이것이 소화기가 불을 끄는 원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보시는 소화기는 이산화탄소 소화기로,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에 높은 압력을 가해 액체로 만든 소화기 입니다.


    소화기를 작동시키면 액체 이산화탄소가 순식간에 기체가 되어 불을 끄게 되는데요 1kg의 액화 이산화탄소는 온도가 15℃가 되면 534ℓ의 기체로 변하면서 불을 엎습니다.


    이산화 탄소로 인해 산소가 차단되어 연소하지 못하고 꺼지게 됩니다.


    이는 물을 뿌리면 안되는 화재에 사용하면 적절하고 진화후 잔해가 없다는 장점이 있어요


  • 불이 나기 위해서는 세 가지 필요조건이 존재합니다.

    발화 온도, 산소의 적절한 공급, 연료(가연물)이 있습니다.

    보통의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소화기는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을 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은 연소가능한 물체와, 산소, 발화점이 있어야합니다.


    따라서 소화기는 저온의 분말을 분사하여 산소와 발화점을 제거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소화기에는 제1인산 암모늄이라는 성분이 분말 가루 형태로 함유되어있는데 화재가 난곳에 뿌리면 냉각효과로 온도를 떨어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