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지하철이 생긴 원인과 역사가 궁금합니다!

지하철이 생긴 원인? 목적?과 역사가 참 궁금합니다 우리나라는 지하철 덕분에 교통 수단이 잘되어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무슨이유로만든건지이유와 원인 역사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22.12.16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세계에서 지하철이 가장 먼저 생긴 국가는 영국이며 런던에 1863년부터 지하에서 증기기관차가 달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4년 청량리에서 서울역 사이를 운행하였던 1호선 지하철이 처음입니다.

    지하철의 등장은 안전, 교통체증 등이 문제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은 더 많은 주택과 식수, 출퇴근과 통학을 위한 도로, 그리고 대중교통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는데, 이에 1968년 서울시는 도로교통 체증이 심각해지자 서울의 전차를 없앴고,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보다 많이, 보다 빠르게 사람들을 수송할 교통수단이 필요했고, 그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대중교통수단이 지하철이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신동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 최초의 지하철도는 1863년 1월 10일 영국 런던의 Farlington Street와 Bishop’Road의 Paddington 6.0 km 구간에 개통되어 증기기관차로 운영되었으며, 1890년 전기철도 방식이 탄생하였다. 그 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에 전세계의 여러 도시에서 지하철도 건설붐이 일어났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의 지하철은 1974년 서울에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이래 2011년, 한국의 지하철은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6개 대도시에 17개 노선 537㎞의 도시철도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전국의 차량대수가 2,500만대가 넘었다고 하지요. 우리나라 국민중 2명에 한명꼴은 차량을 가지고 있는 셈입니다. 도로는 유한한데 차량은 많아지니 어쩔수 없이 지하철을 만들어서 교통체증을 줄이고자 함입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이 없다면 아마 서울같은 경우 출퇴근 대혼란에 빠질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