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의연한낙타241
의연한낙타24123.03.07

요즘 반도체업계가 불황이라고 하는데 왜그런건가요?

요즘 반도체업계가 불황이라고 하는데 왜그런건가요?

반도체제품을 쓰는 제품을 덜쓰는건 아닐꺼같은데..

경제용어는 잘 몰라서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 불황의 가장 큰 원인은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 때문입니다. 2021년과 2022년에 설지 투자 금액이 적정 수준을 넘어갔는데요. 반면, 반도체 경기가 2022년 하반기부터 악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미 투자한 금액에 따라 반도체가 과잉 공급되게 된 것이죠.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설비 투자를 지나치게 한 나머지 불황이 찾아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와 같은 경우에는 경기 민감주에 속하며

    이에 따라서 사람들이 경기가 좋지 않으면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어 그런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반도체가 수출이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세계적으로 경제가 침체라서 무역이 잘 안되고 있는 상황에서 반도체가 계속 쌓이고 있죠.

    거기에 다른 나라 반도체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라 공급이 늘고 수요가 둘으니 불황인 것입니다

    더욱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도 이제서야 부랴부랴 다른 산업 발전을 위해 메타버스,웹3기술력 등에 투자를 한다고 공표하고 있는 것이구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의 경우 코로나19시절 수요 급증으로 설비투자를 늘렸으나, 코로나19가 끈나고 물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방산업인 IT의 수요가 부진하였고, 이에따라 반도체의 재고량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이 현재 발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시절때 너무 많은 IT제품이 팔려서 입니다. 그떄 엄청난 호황이여서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 반도체 회사에서 엄청나게 증설을 했습니다. 작년부터 IT 제품이 안팔리고 스마트폰 시장도 둔화되자 반도체 공급 과잉이 되고 이는 재고 급증으로 이어져 엄청난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하반기까지 지속될거라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로벌 수요 감소 때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 같은 데이터센터 운영 업체들은 이미 쌓아놓은 D램 재고와 경기불황 우려 등으로 반도체 구입을 꺼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