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암호화폐가 각각 컨펌횟수가 다른 이유.
제가 생각 하기로는 Erc기반 코인은
(예를 들어 이더리움 관련 코인들..)
다 같은 컨펌횟수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코인마다 다른거래소 이동시 컨펌횟수를 보니 제각각 이더라구여.
같은 erc기반 코인이라도 거래소간이나 지갑으로 전송시 컨펌횟수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거래소에서는 안정성의 이유로 컨펌횟수를 조정하여 투자자들의 보호를 하기 위한 정책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같은 암호화폐라도 금액의 차이가 클 수록 컨펌횟수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또한 안정성의 이유가 가장 큽니다. 해킹에 보수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라면 더 많은 컨펌수를 적용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안녕하세요. 암호화폐가 각각 컨펌횟수가 다른 이유에대해 문의 하셨는데요.
거래소별로 입금 판단기준이 다르기때문에 거래소별 컨펌횟수를 암호화폐별로 정하고 있습니다.
컨펌횟수가 다른 이유는 각 코인별 이체수수료및 거래처리속도가 다르며. 각 거래소 또한 거래수수료와 송금 속도가 다릅니다. 또한 해커들의 공격또는 잘못된 거래 위변조 등에 대응해서 컨펌수를 높여서 신뢰성을 높이기위해 컨펌수를 바꾸기도 합나다.
그렇기 대문에 판단기준으로 각각 정해놓은 일정 컨펌수를 충족하거나 그 이상이 되어야 입금처리를 해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