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비가 아닌 우박이 내리는데 우박은 어떻게 형성되나요?
요즘 이상 기후현상으로 인해서 우박이 내리는 경우가 많은데
우박이 어떻게 그 큰 무거운게 공중에 떠다닐수있는지가 궁금합니다.ㅎ
우박 형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에 계속해서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결국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하늘 높은 곳은 기온이 낮습니다. 보통 비가 내려야 하지만 비이상적으로 온도가 낮을 경우 작은 물방울이 응결이 되어 주변에 있는 물방울과 합쳐지면서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게 됩니다. 이 때 어느정도 무게가 되면 지표면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게 눈입니다. 근데 눈이 다시 상향기류로 만나서 위로 올라가고 다시 내려오다가 상향 기류를 만나서 위로 올라가기를 반복하면서 더 많은 수증기와 합쳐지게 되면서 더이상 상공에 존재하지 못하는 무게가 됬을 때 내리는게 우박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 솟은 구름 (적란운)에서 빙정이 떨어지다가 강한 상승기류로 인해 떨어지지 못하고
다시 올라갑니다. 이때 수증기가 더 달라 붙어서 빙정은 더욱 커지고 떨어지다가
또다시 상승기류로 인하여 상승합니다.
이와같은 것이 반복되다가 상승기류로도 감당하지 못하는 무게가 되면 떨어지게 되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