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3

무더운 여름에 얼음 알갱이 우박이 내리는 이유는?

무더운 여름에 하늘에서 떨어지는 얼음 알갱이 우박. 정말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한여름 우더위에 우박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22.10.13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

    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상층의 매우 낮은 영하 40도정도의 대류를 만나면 구름속의 미세 물방울(수증기)은 얼음이 됩니다. 이 미세 물방울 즉 빙정은 주위의 빙정들과 서로 달라붙게 되고 커지면 떨어지는데 이것이 눈입니다. 냉장고를 열게 되면 하얀 구름 같은 것이 나오게 되는것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이것은 공기중의 수증기가 냉장고의 차가운 온도 때문에 순간적으로 빙정이 되는 현상입니다. 이 미세한 수증기 빙정이 서로 달라 붙으면 눈이 되는 것입니다. 눈이 내려오다가 하층의 더운 공기를 만나면 일부 녹으면서 진눈깨비가 됩니다. 하지만 이 눈이 떨어질때 지표에서 올라오는 강한 상승기류가 있다면 상승기류로 인해 다시 하늘로 올라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구름에 있던 물방울이나 다른 빙정들과 달라붙어 더 큰 덩어리가 되고 지표에서 올라오는 상승기류보다 무겁게 되면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것이 우박입니다.


  • 여름철 대기에 우박이 생성될만한 조건이 맞을 경우 우박이 내리기도 합니다.

    대기 상층에 찬 공기가 위치한 가운데 지상에서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 상승한 공기가 주변(상층 찬 공기)보다 따뜻하기 때문에 부력을 받아 더 높은 곳으로 강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구름 내에 이렇게 강한 상승기류가 존재하게 되면, 구름 속에서 얼음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되고, 주변 물방울들이 달라붙으면서 충분히 무거워질 만큼 커진 다음 지상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것이 우박입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고,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계속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