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3

아이가 열이 많이나는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기가 자다가 갑자기 칭얼거리길래 이상해서 온도를 재봤는데 39도네요 !

일단 아이용 타이레놀 (챔프시럽) 먹였습니다. 아이가 열이 많이 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열이 떨어지지 않아서 걱정이 많겠군요.

    저희 아이도 어렸을 때 원인 모를 열감기로 고생을 많이 했었답니다.

    고열이 지속되면 열경련을 할 수 있으니 병원에서 일러준대로 해열제를 시간에 맞게 복용해야 합니다.

    미지근한 물로 가제수건을 적셔서 겨드랑이에 끼워주고 이마에 올려줍니다.

    그리고 손발을 닦아줍니다.

    열이 날 때는 아이의 손발이 차가워지는데 이는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혈액 순환이 잘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주물러주면 어느정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고열이 지속된다면 밤 중이라도 응급실에 가서 진료를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 열을 떨어뜨리는게 우선이니깐요.


  •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blue-check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3일 전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38도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다면 아이가 많이 힘들어할 수 있는데요. 아이의 연령에 맞게 해열제를 먹이고 시원한 소재의 옷으로 입혀주시는게 좋습니다.

    단시간에 체온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너무 크게 걱정마시고 먼저 먹인 해열제가 효과가 없다면 다른 성분의 해열제를 교차복용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미온수를 수건에 묻혀서 몸을 닦아 주셔도 효과적인데요. 미온수 찜질이 열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으나 아이가 힘들어할 때 해주시면 시원함을 느끼게 해줄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

    (신생아-영아는 상황이 다를수 있습니다)

    열이 나는 원인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집에서 열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아이의 컨디션과 어떤 증상이 동반되었는지를 통해 병원을 바로 가야할지, 또는 지켜볼 수 있을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아이의 컨디션이 비교적 양호하다면 해열제를 복용하며 지켜 보실 수 있으므로, 집에 구비하고 계신 어린이용 해열제(타이레놀 또는 브루펜 등)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단, 해열제를 주실 때는 안내서에 적혀있는 적정 용량과 횟수, 간격을 잘 지켜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비교적 잘 지내는 상태로 1-2일 정도 해열제 복용 후 더 이상의 발열이 없다면 특별한 치료가 없이 호전되는 일시적인 발열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열이 지속되거나 아이가 처지는 경우, 열과 함께 평소와는 다른 모습(발진, 눈 충혈, 딸기혀 등등)을 보일 때, 또는 경련이 동반, 그외 조금이라도 이상한 모습이 있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열의 원인에 따라서는 추가 검사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때로는 입원 치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아기가 3-4개월 이하의 신생아 또는 영아일 경우에는, 빠르게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 드립니다.

    아기가 잘 회복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해열제는 먹였으니 옷을 얇게 입혀 주세요. 양말은 꼭 신겨줍니다.

    이마와 목 뒤에 해열 패치나 미지근한 물수건을 놔주세요.

    손, 발이 차면 열이 더 오를 수도 있으니 팔 다리를 주물러 주시고 탈수 올 수도 있으니 미지근한 물 자주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계속해서 열이 안떨어지면 해열제 교차복용 해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에게 약을 먹여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아이의 옷을 모두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20분 정도 온 몸을 닦아주세요. 이때 찬물은 안 됩니다. 그 이유는 차가운 얼음으로 마사지를 하면 혈관이 수축되어 땀구멍을 막기 때문에 해열에 오히려 방해가 됩니다.

    물을 충분히 공급해 주세요.

    그래도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응급실로 즉시 가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열이 나면, 주변 환경을 조금 더 시원하게 해주시고,

    따뜻한 물수건으로 아이의 몸을 닦아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열이 내리지 않으면, 4시간 간격으로 해열제를 투여해야 하며,

    따뜻한 물을 자주 먹이는 것도 열을 내리게 하는 방법이 됩니다.

    열이 계속 떨어지지 않으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래 해열제는 4시간 간격으로 복용하지만 열이 떨어지지 않을 경우 2시간 간격으로 교차 복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열이 안 떨어지면 몸에 이상반응이 있는 것이니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 받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먹이신 해열제는 아세트아미노펜계열이고요 효과가 없을 시 이부프로펜 계열 해열제를 먹여보시고 열이 떨어지는지 보셔야 합니다.

    미온수를 수건에 적셔 온몸을 닦아 주거나 이마나 등에 열패치를 붙이는 등 열이 떨어질 수 있는 다른 노력도 동반해 주시면 좋습니다. 지속 될 경우 지체없이 응급실이나 인근 병원 내원하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