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16

임신준비, 엽산 추천해주실만한게 있나요?

이제 결혼한지 7개월된 신혼부부에요!

임신준비 하는데 엽산 추천해주실 만한 제품 있을까요!?

엽산 외에 추가로 먹으면 좋은 임산부 영양제도 좋구요 :)

보건소는 필수로 가야하는 걸까요?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의연한멧돼지241
    의연한멧돼지24122.09.15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엽산으로 유명한 것은

    솔가 엽산이 가장 유명합니다

    보통 병원에서도 솔가 엽산을 많이 추천해주구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철분제는 보건소에서 임신 16주부터 분만 시까지 총 5개월분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철분 보충이 필요 없고, 또 초기부터 섭취하면 구토, 메스꺼움, 위장장애 등을 유발하여 식사 등 영양섭취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태아가 급격히 성장하는 시기부터 필요한 영양인 만큼 임신 16주부터 철분제를 복용하도록 하세요. 하지만 혈액 검사에서 철분 수치를 확인하고 빈혈이 있다면 임신 초기부터 철분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철분제는 식후에 먹으면 철분 흡수율이 낮아지므로 공복에 먹는 것이 좋고, 철분 흡수를 돕는 비타민 C나 과일주스와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철분제 복용 한 시간 전후로는 철분의 흡수를 막는 카페인, 우유, 녹차, 제산제 등은 피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게 병원에서 엽산을 추천하면 솔가 엽산을 추천하곤 합니다.

    보건소에서는 최근 코로나로 인해서 검사나 임신관련 활동을 안하는곳도 있으니 한번 문의를 해보시는것이 우선되면좋겠습니다.

    엽산과 함께 멀티비타민 정도만 챙겨드셔도 충불할수있으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해당 질문은 약료란에 더 알맞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해당질문의 경우 육아 전문가가 답하기 어려운 내용인 것 같습니다

    재질문 하신다면

    현직 약사 선생님들께서 답변 주실 것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 준비 기간에 엽산은 꼭 섭취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아하 약료 카테고리란에 위에 내용을 올리시면 원하는 답을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

    따끈따끈한 신혼 7개월차라니 먼저 축하드립니다.

    임신을 계획중이신데,

    보건소는 당연히 가보셔야 합니다.

    엽산은 보건소에서 아마 무료로 주실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특별히 이 제품이 좋다라는 광고는 말그대로 광고일뿐

    오히려 일반약품보다 보건소에서 주시는 것이 안심할 만한 제품임을 꼭 말씀드리고 싶네요.

    더불어 MMR 접종력과, 풍진에 대한 항체검사도 함께 권유드립니다.

    항체가 없는 상태에서 임신시 문제가 크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준비하셔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건소에서 주는 엽산 만으로도 충분 합니다. 보건소에서 준다고 다 나쁘거나 그렇진 않습니다.

    다만 시중의 엽산은 합성성분이 적고 천연성분으로 구성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것이 더 좋다는 조금 논란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건소는 가급적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지자체 혜택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을 준비한다면 태아의 건강을 위해 영양에 신경 써야 하는 건 당연합니다.

    특히 임신을 하게 되면 태아에게 공급할 혈액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혈액을 만들 때 필요한 엽산과 같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병원에 내원해서 상담을 해보는 게 정확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