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플라시보효과는 어떤 걸 설명하는 용어인가요?
플라시보 효과라는 것이 있던데
이 용어는 어떤 상황을 설명하는 용어인가요?
현실 세계에 존재한 실제 사례들에 맞춰서 비유가 곁들여진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즐거운멥새57입니다. - 플라시보란, 생물학적으로는 아무런 효과가 없는 중성적인 물질이지만 그것이 효과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에게는 실제 효과가 나타나는 약물이나 물질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의학적 효과가 없는 녹색의 설탕 덩어리를 감기약이라고 말하며 환자에게 처방할 경우 환자는 가짜 약을 삼키자마자 감기가 난 것처럼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까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어린직박구리163입니다. - 위약효과라고도 하는데 의사가 환자에게 위약을 처방해도 환자가 의사를 신뢰하여 위약임에도 불구하고 호전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2차대전 때 의약품이 부족할 때 설탕알 등을 약처럼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 신약개발에서 효과를 검증할 때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실험약, 다른 집단은 위약을 투여하여 플라시보효과인지 아니면 약의 효과인지 실험하기도 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대견한두꺼비41입니다. - 플라시보 효과는 위약 효과라고도 불립니다. - 예를 들어 모기에 물렸을 때 침을 바르면 낫는다고 듣고 자란 아이는 모기에 물리고 나면 침을 바를 겁니다. - 사실 침을 바르면 낫는 건 아닌데 아이는 침을 바르면 나을 거라고 긍정적으로 믿고 있고 이 믿음으로 인해 병이 진짜 낫는 경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