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4.10

기린은 원래부터 목이 길었는지 아니면 진화했는지 알고 싶어요.

어릴 때 학교 다닐 때 배우기로 기린은 목이 진화하여 길어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요즘에 또 아니라는 소리가 들리더라구요.기린은 원래부터 목이 길었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가설의 진화론이 있습니다.

    더 높은 곳의 나무잎을 먹기 위해 목이 길어지도록 진화를 했다라는 설도 잇고 물을 먹기 위해 목이 길어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체온조절등의 이유로 목과 다리기 길어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것은 가설일뿐 정확인 이유는 아직 밝혀내진 못한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린은 경쟁자 초식동물을 멀찍이 따돌리고 4∼5m 높이의 부드러운 나뭇잎을 뜯어먹는다. 지상에서 가장 긴 2m가 훌쩍 넘는 기린의 목이 진화한 것은 이처럼 먹이 경쟁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은 찰스 다윈 이래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최근 긴 목이 먹이 경쟁이 아닌 암컷을 차지하려는 수컷끼리의 싸움 과정에서 진화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린의 긴 목은 진화의 결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린의 목은 매우 길어서 일반적으로 다른 동물들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식물들을 먹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러한 목의 길이는 기린이 생존과 번식에 더 좋은 기회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자연선택의 결과로 생긴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진화란 생물종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생물종은 자연선택, 돌연변이, 유전적 변이, 환경적 변화 등의 요소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기린의 목이 길어진 것은 자연선택의 결과로 설명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목이 짧은 선조의 개체들은 높은 나무의 먹이에 접근하기 어려워 생존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목이 길어진 개체들은 높은 나무의 먹이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더 좋은 생존과 번식의 기회를 갖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에 따라 목이 긴 개체들이 더 많이 생존하고 번식하여 목이 긴 개체들의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목이 긴 기린 개체들이 더 많아지고, 결국 목이 긴 개체들끼리 번식하여 목이 긴 개체들이 주로 존재하는 인구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목의 길이는 기린의 진화적 적응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린의 목은 진화에 의해 탄생한 결과입니다. 이런 진화의 이유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계속 있지만, 진화의 결과라는 걸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19세기 초 프랑스 박물학자 라마르크는 점점 더 높은 곳의 잎을 따먹느라 기린의 목과 다리가 길어졌다고 설명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다윈에 의해서 부정되었습니다. 이후 1949년 채프먼 핀처는 다리가 먼저 길어졌고 물을 마시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목이 길어졌다는 기발한 가설을 제기했지만 이도 곧 부정되어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남은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 공룡시대에도 보면 기린처럼 목이 긴 브라키오사우르스나 아파토사우르스가 있습니다

    아마 이런 공룡들이 진화해서 기린이 된게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