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Punisher
Punisher
23.12.19

유리의 재료가 모래라고 알고 있는데요

모래가 유리가 된다는게 너무 신기한데요

모래가 어떻게 투명한 유리가 되는걸까요?

모래의 어떤걸 추출해서 유리를 만드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12.19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실리카 추출: 유리를 만들기 위해 모래에서 실리카를 추출합니다. 모래를 고온의 화로에서 가열하면 모래 안에 있는 실리카가 분리되어 추출됩니다.

    2. 유리 제조: 추출한 실리카를 이용해 유리를 만듭니다. 일반적으로는 실리카와 함께 소량의 붕소나 알루미늄, 나트륨, 칼륨 등의 화학 원소를 섞어 유리를 만듭니다.

    3. 유리 형성: 유리는 뜨거운 액체 상태에서 형성됩니다. 유리를 만든 원료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냉각하여 고체 상태로 만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리는 투명하고 강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모래가 유리가 되는 이유는 실리카가 유리와 같은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리카는 네 개의 산소 원자와 하나의 규소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분자 구조는 유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실리카를 이용해 유리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琉璃, glass)는 모래 가운데 다른 구성 광물들이 풍화되어 사라지고 단단한 석영질이 주로 남은 규사(硅砂)에 탄산나트륨과 석회암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높은 온도에서 녹여 성형, 서서히 냉각하여 만드는 소재이다. 유리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투명성이며, 단단하지만 유연성이 거의 없어 쉽게 깨지는 비결정 고체 물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