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비상한홍여새235
비상한홍여새23521.08.01

갑상선기능검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1980년쯤(30세)에 갑상선 기능 항진증(쉬한증후군)을 진단받고나서 그때쯤부터 70세인 현재까지 약을 먹고 있습니다.

갑상선기능검사에서 TSH(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를

정리해보았습니다.

"0.05 (2008년)

0.02 (2010년)

0.04 (2012년)

0.07 (2014년)

0.14 (2018년)

0.103 (2020년) "

입니다.

먹고있는 약들에서 갑상선관련된 약은

'씬지로이드0.075mg'을 먹고 있습니다.

(약을 계속먹고 있는데,

TSH수치가 정상범위내에 있지 않는 거 같아 보이는데...)

TSH수치가 낮게 나오면 '특히 조심해야되는 사항이 있는지', '낮은 수치가 계속되어도 괜찮은건지' 등

궁금해서 질문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선은 질문자님께서 말씀해주신 정황으로
    정확한 설명은 어려운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약 40년 전에 쉬한 증후군을 진단 받으셨고,
    쉬한 증후군과 관련된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갑상선호르몬(신지로이드)을 복용 중이신듯 합니다.

    쉬한 증후군은 뇌하수체가 손상된 것이기 때문에
    뇌하수체에서 분비하는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이 정상 범위보다 낮으면
    갑상선호르몬의 생성도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갑상선의 이상으로 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지 않는
    다른 형태의 갑상선기능저하증과 는 달리,

    질문자님과 같이 뇌하수체 손상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호르몬을 복용하여도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은 낮게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https://helpline.kdca.go.kr/cdchelp/ph/rdiz/selectRdizInfDetail.do?menu=A0100&rdizCd=RA201810138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갑상선 약을 드시고 계신다면 정상 범위 안에 들어 가셔야 됩니다 특정 사람에 대해서 달라 지기보다는 수치에 균일성이 중요한데요 증세가 궁금하신 거는 지금 처방 받고 있는 병원에서 상담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갑상선 호르몬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계셔서 많이 불편하실 듯 합니다. 쉬한 증후군은 뇌하수체의 기능 저하를 의미합니다. 뇌하수체가 기능이 떨어지면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떨어지고, 결국 갑상선 기능 저하 소견을 보이지요. 적어주신 것처럼 갑상선 기능 항진이 되는 것은 아니랍니다. 그래서 갑상선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지금껏 씬지로이드라는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한 것이지요.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계속 낮게 나오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TSH 수치는 낮게 나와도 됩니다. 다른 호르몬 수치도 중요하며, 주기적으로 추적관찰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갑상선 기능이 저하될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 체온 저하가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살이 급격하게 찔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에는 실신할 수 있습니다.

    치료

    치료를 하지 않거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 심장질환, 의식불명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이 초래되므로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치료로는 보통 일정량의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해야 한다. 하루에 한번 일정량을 복용하면 되기 때문에 치료 자체는 단순하다.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이 만들어 내는 호르몬으로 단지 양이 부족해서 보충하는 것이므로 약물복용에 따르는 부작용은 없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약을 복용하는 기간은 발생 원인에 따라서 다르다. 수술로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나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치료 목적으로 방사성 요드를 투여해서 발생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인 경우에는 갑상선기능이 회복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갑상선 호르몬을 평생 복용해야 한다.

    그러나 만성 갑상선염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상당수의 환자에서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일시적이거나 혹은 치료 후 자연 회복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환자에 따라서는 일정기간만 치료해도 되는 경우가 있다.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경우에는 조기 진단에 의한 치료의 개시 시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예후(prognosis)

    치료하지 않을 경우 증상의 악화 및 지속적인 대사교란을 초래한다. 결국 의식저하, 사망을 이르게 할 수 있다. 영아기에 치료되지 않은 갑상선기능저하증은 회복 불가능한 지능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대부분 갑상선호르몬의 보충을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관련된 호르몬 기능도 회복된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아닌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갑상선 호르몬 약물을 복용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으면서 TSH 가 낮은 것이라면 뇌하수체에서 TSH가 충분히 분비되지 않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오셨고, 그렇기 때문에 갑상선 호르몬제인 신지로이드를 복용하고 계신 것입니다. 쭉 그러한 상태로 지내오셨을 것이며 특별한 증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크게 걱정하실 부분은 없으며 약을 꼬박꼬박 잘 챙겨 드시기만 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