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궁금한건 죽어도 못참아요 ㅠㅠ
궁금한건 죽어도 못참아요 ㅠㅠ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이득이 될까요?

2022년 원징 6800만원입니다.

올해 5월에 약 세후 400만원정도 종소세 신고예정입니다.


1. 일단 제가 가입대상은 되나요?

2. 가입대상이 맞다면 비과세혜택만 보는건가요?

3. 비과세 혜택만 본디고 하더라도 가입하는 것이 유리한가요?

(일반 예, 적금과 비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단 나이가 만34세미만이면 가능하고요. 님의 소득구간도 가능합니다. 금리 비교보다도 일단 비과세란 장점이 너무 큽니다. 부자들은 종소세 때문에 비과세라면 좋아 죽습니다. 무조건 가입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1) 개인 소득 6,000만 원 이하 &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여야 하는데, 6,800만 원이라면 초과이므로 가입 대상이 아닙니다. 단, 2022년 소득은 올해 7~8월 경 확정되므로, 2021년 소득이 위 요건을 충족하신다면 가입 가능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2)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과 저축 장려금 수준을 보셔야 하며, 저축 장려금의 경우 1년 마다 소득 수준을 재산정해서 금액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이 부분까지 봐주셔야 합니다. (* 6,000만 원 ~ 7,500만 원 사이 소득자 : 장려금 X, 비과세 혜택 O)

    3) 네, 청년이 비과세, 분리과세 예,적금을 가입하기는 사실상 어려우므로 비과세 혜택만 봐도 만기 전에 해지하지만 않으신다면 괜찮은 혜택이며, 여기에 저축장려금까지 있기 때문에 가입 요건을 충족하신다면 가입하시는 게 아무래도 유리하긴 할 것입니다. (* 물론 3년 고정금리, 2년 변동금리는 변수이긴 한데, 이것까지 정확하게 예측해서 가입 여부를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내용을 보게 되면 질문자님의 경우는 연소득이 6,000만원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대상이 가입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 근로소득이 있는 만19~34세 청년 (군복무기간 감안)

    • 개인소득 6,000만원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아래의 사진 참조해주세요)

    2. 비과세 혜택 외에도 '정부 기여금'이 추가적으로 지원되는데, 소득이 낮은 경우에는 6%, 소득이 높은 경우에는 3%가 추가 지원됩니다.

    3. 일반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만기 지급금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적금 (5년만기, 월납 70만원, 5%) - [원금 42,000,000만원 + 이자5,337,500원 - 세금 821,975원 = 46,515,525원]

    • 청년도약계좌 - 만기 50,000,000만원

    청년도약계좌로 가입하게 되면 5년뒤 3,484,475원의 이자를 더 받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