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8.25

조선후기에 들어서 모내기법이 성행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세종대왕 때 농사직설에서

모내기법을 소개하는 내용이 있는데요

왜 그 당시에 바로 실행이 안되고, 조선 후기가 되서 모내기법이 성행하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논에 볍씨를 뿌리는 직파법에서 이양법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바뀌었지만 장려를 하지 않아서 입니다.

    농사는 무엇이든 타인의 농사법을 보고난후 따라 하는게 대부분 입니다.

    이모작역시 가능해졌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앙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처음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강수량이 풍부하거나 일년 내내 고른 지역에서는 이앙법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선은 봄에 가뭄이 심하다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관개 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조선은 이미 고려시대부터 이앙법이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채택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관개 기술이 늘고 농업용 보가 많아지면서 본격적으로 모내기법이 성행 할 수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내기법을 쓰면 노동력이 엄청 줄어들게 됩니다.

    상공업의 발달로 경제가 발전되니 사회적분위기가 농민들 입장에서도 잘살고 싶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전후복구로 농토도 늘어나니 수확량을 늘리고 몸좀 편하게 효율적으로 일하고 싶어 모내기 시행 보급발달하였습니다

    일단 수확량많고 잡초가 옶으니 일하기 쉽죠

    후기에 이러한 이유로 발달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는 봄과 겨울에 강수량이 부족하고 대부분의 강수량은 여름에 집중되는데 모내기의 특성상 모내기를 하는 시점에 가뭄 등으로 물이 부족해 실패할 경우 벼가 완전히 말라 죽기 때문에 수확량이 0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조선 같이 무역도 상업도 미진한 사회에서는 재난급의 기근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 직파법은 비가 덜 오더라도 뿌리가 땅에 착근만 되면 어느 정도 수확이 가능해 이런 이유로 조선 초 모내기는 국가에서 금지하는 농사법이었습니다.

    17세기 중엽 이후가 되면서 국가에도 모내기를 적극적으로 금지할수 없었는데 이 시기에는 면화, 연초 등 노동력이 많이 드는 밭작물들이 집중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함으로써 논농사에서 노동력을 줄일 필요성이 커졌고, 각 지방마다 수리시설이 증가하면서 농업 여건도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기록상으로 조선 영조/정조 대에 모내기를 허가했다 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내기 법 이른바 ‘이앙법’은 모판을 만들어 볍씨를 촘촘하게 뿌리고 싹을 틔워 일정하게 자랄 때까지 키운 다음 물을 댄 논에 옮겨 심는 방법입니다. 물론 초선 초기 소개는 했지만 조선 후기 들어 농민들이 저수지를 늘리고 수리 시설을 확충하면서 본격적으로 모내기법을 이용해 농사를 짓기 시작 한 것입니다. 이앙법은 물론 새로운 기술 이지만 농민 들에게 그 기술이 전수 되는데는 시간이 많이 필요 했고 더욱이 관개 시설 확충 등의 문제가 있었기에 바로 시행 하지 못하고 적응 및 검증 시간이 필요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