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영스러운노을941
영스러운노을94123.09.14

신라시대에 왕즉불 사상을 강조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신라시대에 왕즉불 사상이라는 것을 왕권에서 엄청나게 강조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이 왕즉불 사상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인가요?

그로인해 신라사회에는 어떤 영향들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를 포함한 삼국의 불교수입의 목적은 각기 다르던 부족들의 신앙을 하나로 통합하고 불교의 왕즉불 사상을 통해서 왕권을 강화 하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신라는 가장 늦게 불교를 받아들였는데 귀족들의 반대가 아주 심했다고합니다. 그 이유가 고구려와 백제에서 불교를 받아들인후 왕권이 강화되면서 귀족세력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하네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즉불 사상은 왕은 불교를 통해 그 자신 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 이러한 경향을 대표하는 용어가 ‘ 왕즉불왕즉불 ’ ‘ 황제즉여 래황제 즉 여래 ’ 라고 할 수 있고, 승려들은 황제가 바로 부처라고 칭송 하였습니다. 6세기 국가 체제를 정비해나가던 신라는 왕이 앞 장서서 불교를 믿고 따를 것을 종용하였습니다 . 법흥왕은 토착 신앙에 기반하여 권위를 내세우던 다른 부족을 누를 수 있는 방안 으로 불교를 선택 하였고‘ 왕족이 석가족 이다 ’ 는 관념을 만들어 내며 왕권의 신성성을 강화하였습니다 . 삼국 통일 이후에도 왕실은 줄곧 불교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고 , 이는 14 세기 고려가 멸망 할 때까지 변함이 없었습니다 .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즉불 사상이란 왕이 곧 부처라는 사상이고 이것은 고대 사회에서 불교가 왕권을 강화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상이 됩니다. 즉, 왕은 거의 부처와 동일한 수준의 인물이니 일반 백성들은 왕을 부처를 대하듯 충성하라고 하는데 아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론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