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보다 아침에 공기가 안좋다고 하던데 그 이유는 뭔가요?
평일에는 웨이트를 중점적으로 하고 주말에는 러닝을 하려고 합니다. 러닝을 할 시간대를 정하는데 저녁에 공기가 더 좋기 때문에 저녁에 하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어째서 저녁에 공기가 더 좋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침에 공기가 안좋다는 것은 실제로는 밤에 공기가 안좋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대기층 안정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밤에는 지표면이 냉각되면서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냉각됩니다. 이러한 냉각된 공기는 상승하면서 대기층 안정화를 유발합니다. 대기층 안정화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상승하는 것을 방해하여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존재하게 만듭니다.
이와 반대로 아침에는 지표면이 데워지면서 지표면 근처의 공기도 데워지게 됩니다. 이러한 공기는 상승하면서 대기층 불안정화를 유발합니다. 대기층 불안정화는 오염물질이 상승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지 않도록 방해합니다. 아침에는 공기가 비교적 깨끗한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침보다 저녁에 공기가 더 좋은 이유는 낮에는 여러 활동들로 인해 유동적인 흐름이 있기 때문에 저녁에 대기가 아침보다 질이 좋고 아침에는 밤동안 공기가 가라앉으면서 정체되어 있다보니 저녁보다 다소 안좋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침에는 밤사이에 식물들도 광합성을 하지않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짖어지는거죠.
이래서 아침 새벽공기가 좋다고는 하지 않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요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대기와 물은 대류현상이 존재하는데, 대류현상은 온도가 높은 유체(대기, 물)는 상승하고, 온도가 낮은 유체는 하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새벽이나 아침에는 햇빛이 차단되고 가장 오랜 시간이 지나 지면 부근의 대기 온도가 충분히 내려가 있는 상태로, 대기 자체가 지면 근처에 존재하며 대기 중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 또한 지면 근처로 가라앉게 됩니다. 이 때문에 아침의 대기질이 저녁보다 좋지 않습니다.
아침에 해가 뜨고 낮시간대까지 충분히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지면에 가라앉았던 대기도 상승하게 되어 오염물질 농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 종일 달궈진 공기와 오염물질이 부유하다가
온도가 낮아지면서 지표에 쌓입니다.
그래서 아침 공기가 안 좋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침에는 대기가 순환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어 오염물질이 낮은 고도에 뭉처있습니다. 이는 밤 동안 대기의 온도가 낮아져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에반해 저녁에는 대기의 순환이 활발해 오염 물질퍼지게 됩니다 그래서 아침에 공기가 않좋다고 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