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23.03.26

우리나라 역사에서 과거제는 언제 처음으로 시행되었나요?

우리나라 역사에서 과거제는 언제 처음 시행하게 되었나요? 그리고 과거제가 시행되기전에는 관리선발을 어떤방식으로 했던것인가요? 그리고 과거제는 왕권강화목적이리라는 얘기도 있던데, 과거제와 왕권강화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리 임명 제도의 하나로 중국 수나라 시대때부터 시작되어 우리나라에는 788년에 독서삼품과라는 형식으로 전래되었고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고려시대입니다.

    958년 광종은 중국에서 귀화한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시행했고 이는 신분제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던 호족 세력을 약화시키는 방안이었습니다.

    과거제가 없을때 신분을 기준으로 관직에 진출하는 음서제가 더 융성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과거제는 신라 시대부터 시행되었습니다. 하지만 초기 과거제는 현재의 형태와는 많이 다르며, 근대적인 과거제가 형성된 것은 조선시대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집현전에서 선발된 관료들이 중앙에서 지방까지 재직하면서 지방행정을 담당했고, 1392년에 이성계가 개혁을 추진하면서 중앙 관료들을 지방으로 파견하는 방식의 과거제가 형성되었습니다.

    과거제 이전에는 지방 관리자는 지방 거주민들의 추천이나 지방의 송백(松栢)이라는 상공회의소를 통해 선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이성계가 추진한 개혁 이후에는 폐지되고, 중앙에서 지방까지 일원화된 과거제 시스템이 강화되었습니다.

    과거제가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는 주장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사실, 과거제 시행 이전에도 이미 국가 규모의 확대와 인구 증가로 인해 중앙 집권화와 관료 제도의 발전이 필연적으로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과거제 시행은 중앙 집권화와 효율적인 행정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시행 범위가 확대되면서 과거제가 왕권 강화에도 기여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는 과거제가 처음 시행될 당시의 목적과는 다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과거제도는 신라 시대에 처음으로 시행되었습니다. 고구려나 백제 등 다른 고대 국가들도 선조들의 묘역에 대한 관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이를 통해 과거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체계는 없었습니다.

    신라 시대에는 선조들의 묘역을 관리하고, 그들의 업적을 기록하고자 "고분군"이라는 관직이 생겼습니다. 이후,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이러한 관리와 기록 체계가 계승되어, 역사와 미래를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과거제도는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과거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보존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