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어린관박쥐58
어린관박쥐5824.03.10

물을 얼린 얼음은 왜 미끄러운가요 ?

얼음을 얼린 얼음은 미끌거리잖아요 ?이게 이유가있을까요 ? 미끌거리지않는 얼음은 만들수가없을까요 ? 얼면서 미끄러워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미끌거리는 이유는 물과 같은 액체와는 다른 분자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미끄러운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분자 구조로 인해 얼음 위를 걷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더 쉽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미끌거리지 않는 얼음을 만드는 것은 가능하지만 매우 어렵습니다. 미끌거리지 않는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얼음의 분자 구조를 바꿔야 하며 이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미끌거리는 얼음을 만드는 것이 더 쉽고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을 얼린 얼음이 왜 미끄러운지 궁금하신데요. 물을 얼리면서 얼음의 분자 구조가 바뀌게 되는데 이때 물 분자들이 더 밀집하게 배열되어 표면이 더 매끄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을 얼린 얼음은 미끄러운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일상에서 얼음 위를 걷거나 미끄러지는 것은 이러한 분자 구조의 차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빙판)이 지면보다 미끄러운 이유는 표면에 존재하는 얇은 수막 때문입니다. 이 물(액체) 층이 기름처럼 윤활유 역할을 해 마찰력을 줄이는데, 즉 물이 있어서 미끄러운 게 아니라 얼음 표면의 물로 인해 더 미끄러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미끄러운 이유는 얼음 위를 걸을 때 발 밑에 생기는 얇은 물막 때문입니다. 여러 이유와 가설이 있지만 아직까지 '이거다’라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합니다. 대부분은 얼음 위의 미세한 수분층으로 인해 미끄럽고, 마찰계수가 급격히 떨어진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반 대리석이나 유리, 장판 등은 얼음만큼이나 미끄럽지 않아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현재도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표면에 존재하는 얇은 물층 때문입니다.


    얼음은 0°C에서 녹기 시작하지만,


    압력이나 마찰과 같은 외부 요인이


    작용하면 0°C 이하에서도 녹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녹아서 생긴 얇은 물층이


    얼음 표면을 윤활제처럼 작용하여 마찰력을


    줄이고 미끄러워지게 만듭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얼음이


    미끄러운 데 영향을 미칩니다.





    얼음 표면의 결정 구조: 얼음 표면의 결정 구조는 매끄럽지 않고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불규칙한 구조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미끄러움을 증가시킵니다.





    온도: 얼음의 온도가 낮을수록 더 미끄러워집니다.



    낮은 온도에서는 얼음 표면의 물층이 더 얇아지고 더 단단하게 결합되어 마찰력을 더욱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압력: 압력이 높아지면 얼음의 녹는점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얼음은 물과 달리 부피가 증가하면서 녹기 때문에



    압력이 높아지면 오히려 얼음 표면의


    물층이 더 두꺼워지고 미끄러움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는 단순히 표면에


    물층이 존재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온도, 압력, 얼음 표면의 결정 구조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면 얼음이 되는데 얼음이 대기중에 있다면얼음의표면에 수막이 생겨서 얼음의 마찰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미끄럽게 되는것입니다. 얼음을 계속녹지않게 얼린다고히면 미끄러움현상을 줄일수있을것같은데 무리일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