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코로나 ? 구체적으로 어떻게 생겼나요?

코로나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생겼나요? 그리고 어떻게 코로나가생기고있는데 밖에 나가서 정확하게 어떤 활동을 해야하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양은중 약사
      양은중 약사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구조[편집]

      코로나바이러스는 포지티브 센스 단일 가닥(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 바이러스로 크기는 80–220 nm이다. 지질이 포함된 외피에 둘러싸여 있으며, 외피에 20 nm의 왕관 모양과 같은 돌기(spikes)가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게 4가지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spike (S), membrane (M), envelope (E), nucleocapsid (N) proteins이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S) 단백질은 S1과 S2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에서 S1 서브유닛은 스파이크의 머리 부분이며 receptor binding domain (RBD)을 가지고 있다. S2 서브유닛은 스파이크의 기둥 부분이다. 막(M)과 외피(E)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겉부분을 형성하고 형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피 내부에는 뉴클레오캡시드(N) 단백질이 있다.[5] 몇몇 코로나바이러스(특히 베타코로나바이러스 하위집단 구성원)는 또한 항체 에스테라아제라고 불리는 단백질 같은 짧은 스파이크를 가진다

      코로나바이러스의 3차원 모형(돌기모양의 스파이크단백질을 보여준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에게 유발되는 일반적 감기 중 상당 부분의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바이러스성 폐렴이나 2차적인 세균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직접적인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이나 2차적인 세균성 기관지염도 일으킬 수 있다. 2003년에 발견된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를 일으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로, 상부 및 하부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독특한 병인을 가지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의 유전 정보를 갖고 있는데, RNA는 변종이 쉽게 일어나서 수많은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이 나온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는 7 가지 변종이 알려져있다.

      코로나바이러스 HCoV-229E, -NL63, -OC43 및 -HKU1 등은 사람 사이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전세계의 성인과 어린이에게 호흡기 감염을 일으켜 왔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만큼이나 급속한 확산경로와 변종을 포함하는 범유행을 일으킬 것으로 과학자들은 경고하고 있다.[6] [7][8]

      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B%A1%9C%EB%82%98%EB%B0%94%EC%9D%B4%EB%9F%AC%EC%8A%A4

    •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코로나는 빨판이 달린 공 모양의 바이러스로 세포막에 빨판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부착하여 세포내로 침투하게 됩니다.


      코로나가 2년간 지속되고 있지만 확실하게 알려진 예방법은 마스크착용과 손씻기입니다. 확진자와 접촉했더라도 마스크를 얼굴에 딱 맞게 착용하고 손씻기를 잘해서 얼굴을 만지지 않았다면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어떤 활동을하던 손씻기와 마스크 착용을 지속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코로나는 기존 바이러스와 모양 자체는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유전물질과 단백질에 차이를 보입니다.

      mRNA를 유전물질로 가지고 있고 다른 단백질과 차별성을 둔 SPIKE 단백질 등이 있으나 기본적인 모양 자체는 다른 바이러스와 같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외부에 외막이라는 구조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막에 존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성분인 아미노산의 서열이 변하는 것이 변이입니다.

      현재 수십가지 변이가 발견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변이 중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는 유전물질과 그에 따른 껍데기 단백질로 이뤄져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바이러스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mRNA 및 이를 보호하는 여러가지 외피 및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단 코로나로 인하여 어떤 활동을 해야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으며 본인의 역량 및 사회활동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코로나의 경우 이름의 어원과도 같이 마치 왕관, 그리고 태양의 코로나와 비슷한 모습을 띄고 있습니다.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지 말고, 손씻기,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코로나 바이러스는 구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 스파이크단백질이 외부에 붙어있는 형태입니다.

      2. 구 안에 바이러스의 유전정보인 RNA가 들어있고, 바이러스의 외부에는 다른 세포로의 부착이나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존재합니다.

      3.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어르신이 감염되면 중증으로 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백신을 맞는 것을 권유드리고, 사람이 너무 많은 곳에만 가지 않으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동물 및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그 중에서 사람에게 전파가능성이 있는 코로나바이러스는 기존에 6종이 있습니다.이 중 4종은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며, 나머지 2종은 각각 MERS-CoV와 SARS-CoV로 알려져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과거에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인 SARS-CoV-2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코로나 감염 증상은 개인에 따라 큰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감기와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호흡기감염증이 나타나며 그 외 가래, 인후통, 두통, 객혈과 오심, 설사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생긴건 눈으로 볼수없습니다.

      그냥 바이러스라서 동그랗고 돌기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충분히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감염된 사례도 실제 있구요

      완치판정을 받더라도 면역력관리에 힘쓰고 방역수칙을 잘 지켜주시는 게 중요해요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