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

현대사공부하다가 1985년 국제그룹이 해체됬다는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현대사 관련공부를 하다보니 1985년 국제그룹이 해체됬다는걸 알게되었어요. 정권관련같은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 전문가님 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제그룹 해체 사건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두환 정부는 1981년 12월에 대통령령으로 부실기업 처리를 위한 비상설기구로 산업정책심의회를 설치하고 부실기업 정리에 나섰습니다. 중화학공업 투자조정 및 산업합리화 정책이라는 미명 하에 1985년 5월부터 1988년 2월까지 총 6차례 걸쳐 부실기업 정리가 단행되었는데 해운업을 필두로 조선, 합판, 섬유, 제지, 종합상사 등 광범위한 업종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이런 식으로 1988년까지 모두 78개의 기업이 합리화 대상으로 지정되거나 3자 인수방식으로 정리되었습니다.
      부실기업을 인수하는 기업에 대해선 각종 특혜가 주어졌다. 이런 기업들은 대출원리금 상환을 유예받았고 이자 지급과 조세를 감면받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종잣돈으로 불리는 '시드머니'를 비롯한 금융과 세제상의 특혜까지 주어졌는데 이를 통해 재미를 본 것은 대부분 재벌 그룹이었습니다. 이은숙 교수는 당시 30대 재벌에 인수된 기업이 부실기업 중 절반 이상이었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두환 정권에 의해 눈밖에 난 국제그룹은 1985년 2월 21일 재무부 (현 기획재정부)에 의해 부실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힌채 국제그룹 정상화 대책 이라는 명목으로 그룹 해체결정이 내려졌고, 그해 7월부터 21개의 계열사들이 타 기업에 매각, 합병되었다고 합니다. 1988년 9월 5일자 <동아일보> 기사 '일해 성금액수 밝혀져'에 따르면, 1984~1987년에 기부금을 낸 기업인은 56명이고 총액은 598억 5천만 원 이라고 합니다. 기부 1위인 현대 그룹 정주영은 51.5억 원을 냈고, 10위인 쌍용그룹 김석원은 15억 원을 냈는대 양정모가 낸 금액은 '고작' 5억 원이라고 합니다. 7대 그룹이란 점을 감안하면, 액수가 적은 편이었습니다. 자신의 기부금이 적은 점과 전두환이 위의 발언을 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양정모는 국제그룹 해체가 경영상의 이유가 아닌 정치적인 이유였다고 주장했는데 사실 여부는 확실히 모르겠지만 국제 그룹 붕괴는 정권의 입김이 작용한 것은 신빙성이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 5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전두환 정권은 정의사회 구현을 실현한다는 미명으로 경제인들에게 금품을 강요하였는데 국제그룹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고 총선에 대비하여 부산에 근거지를 둔 국제그룹의 양형모 회장을 만나려고 부산에 내려간 전두환은 헛탕을 치는 등 정권의 눈밖에 나 재계서열 6위인 국제그룹은 한순간에 해체되고 말았습니다. 권력의 힘을 여실히 보여준 아주 악랄한 사례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주환 정부는 1981년 12월 대통령령으로 부실기업 처리를 위한 비상설기구로 산업정책심의회를 설치, 부실기업을 정리합니다.

      중화학공업 투자조정 및 산업합리화 정책이라는 미명하에 1985년 5월 ~ 1988년 2월까지 총 6차례에 걸쳐 부실기업 정리가 단행되는데 해운업을 필두로 조선, 합판, 섬유, 제지, 종합상사 등 광범위한 업종에 걸쳐 이루어지며 이런 식으로 1988년 모두 78개 기업이 합리화 대상으로 지정되거나 3자 인수방식으로 정리되었습니다.

      부실기업을 인수하는 기업에 대해 각종 특혜를 주었는데 이런 기업들은 대출원리금 상환을 유예받았고 이자 지급과 조세를 감면, 시드머니를 비롯한 금융과 세제상의 특혜까지 주어졌는데 이를 통해 재미를 본 것은 대부분 재벌 그룹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제그룹의 해체 이유는 무리한 기업 확장과 해외 공사 부실 등의 이유가 있었으나,

      실제로는 정치자금의 납부실적이 부족해서

      권력층의 눈밖에 난것이 결정적인 원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