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4

한국전력이 적자인 이유가 원전을 안써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올해부터 한국전력이 적자라서 전기값을 올린다고 하는데 이러한 이유가 원전을 중단해서 그런가요?? 얼마전부터 원전을 가동한다고 하는데 왜 전기세를 올리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강원도 레고랜드사태여파가 크고요

    애초 서민 공공비용은 올리지않았습니다 정치인들이

    눈치보느라

    게다가 대부분 기업편이 보수정당이 나라를 60년을 이끌어왔기 때문에

    개인용보다 회사용 전기세가 더 쌉니다

    누적이죠

    이번에 올리려는 것은 잘한것입니다

    보수정당은 국민보다 국가가 먼저다 기업이 살아야 국민이 산다 주의입니다

    즉 신자유주의죠

    민주당은 사람이 먼저다 노동자가 먼저다 쪽이고요 복지쪽

    강원도가 불러온 '레고랜드 사태'…대한민국 경제 흔들었다 | JTBC 뉴스

    이 과정에서 공사 비용은 산더미처럼 불어났습니다.

    결국 강원중도개발공사는 추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해 돈을 빌리기로 했고, 강원도가 이 어음에 대한 빚 보증을 섰습니다.

    그런데 새로 취임한 김진태 강원도지사[국민의힘당]가 돌연, 법원에 회생 신청을 하겠다고 나섭니다.

    자금시장은 사실상 지자체의 채무불이행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공기업조차 이자를 더 준다고 해도 채권이 팔리지 않는 상황까지 벌어졌습니다.

    정부와 동일한 신용등급(AAA)을 보유한 한국전력 채권의 경우, 연 6%에 육박하는 금리를 내걸고도 발행 목표를 채우지 못했습니다.

    일반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들 역시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이 내용처럼 공기업의 우두머리격인 한국전력이 망하게 생겼습니다 채권이 안팔리니까요



    [김상만/하나증권 수석연구위원 : '일반 은행이나 일반 회사는 말할 것도 없다'라는 식으로 신용리스크 프리미엄이 동시다발적으로 더 붙는 거죠.]

    놀란 정부는 50조 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 사태 진화에 나섰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2012년과 2017년의 원전 이용률은 각각 82.3%, 71.2%로, 탈원전 직전 5년과 이후 5년간의 평균 이용률인 81.6%, 71.5%에 가장 근접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원전 이용률 저하와 한전 적자 사이에 관련이 있다면 2017년의 영업이익은 2012년보다 낮아야 합니다. 하지만 한전은 2017년 4조9531억원의 흑자를 기록한 반면, 2012년은 817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실제 수치가 전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한전 적자가 단순히 원전 이용률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다단한 원인이 작용한 결과물이라는데 있습니다. 먼저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연료비 폭등이 꼽힙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전력과 같은 경우 원전을 사용하지 않아

    적자를 보기 보다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용이 100원이라고 한다면

    이를 100원보다 낮게 공급하는 등 하여 이에 따라서 적자를 보는 것입니다.

    전기와 같은 경우 요금이 국가에서 어느정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등 이에 따라

    정상화를 시키기 위하여 전기세를 올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전이 만년 적자인 원인은 국제경제 자문기관인 영국의 케임브리지 이코노메트릭스가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한국전력의 재무 위기를 재생에너지 확대로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보고서를 냈다고 하는데여.이 기관은 15일 발표한 ‘화석연료 가격 변동과 한국의 인플레이션’ 보고서에서 “한국은 현재 설치된 재생에너지 용량에서 경쟁국들에 훨씬 뒤처져 있고 신규 용량 건설 계획도 보수적이어서 화석 연료 가격 변동으로 받는 충격이 더 크다”며 “재생 에너지를 확대해 나간다면 이런 변동성에 대한 노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재생 에너지는 예를 들어 풍력발전이나 태양력 발전 등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