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대기 구성은 약 80km 까지는 변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지구의 대기 구성 성분에는 질소와 산소 아르곤 이산화 탄소 및 기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이 구성비율은 지상 약 80km 까지는 거의 비슷하다고 하는데
80km 를 기준으로 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약80km고도까지는 난류혼합등이 일어나며 분자량이 일정하지만,
고도가 더 멀어질 수록 넓은 부피를 차지하는 공기분자들의 절대량 자체가 낮아지기 때문에 밀도가 낮아지며 희박해지게 됩니다.
즉, 이러한 대류가 균일하게 잘 일어나는 구간의 최대값이 약 80~100km구간인 것입니다.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 구성 성분의 비율은 지상 약 80km까지는 거의 비슷한 이유는 온도와 기압의 변화 때문입니다. 지상에서부터 약 80km까지의 대기는 대류권이라고 불리며, 이 지역에서는 온도와 기압이 점차 감소합니다. 온도가 감소하면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여, 기체 분자의 확산이 쉬워집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질소, 산소, 아르곤 등과 같은 기체 분자들이 서로 잘 섞여서 비슷한 비율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러나, 지상 약 80km에서부터 상층 대기까지는 중간권, 성층권, 열권, 외기권으로 구분됩니다. 이 지역에서는 온도가 다시 증가하여,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합니다. 온도가 증가하면 기체 분자의 확산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기체 분자의 비율이 지상과는 크게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 구성은 지상부터 80km까지는 거의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그 이상부터는 대기의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구성 요소들의 비율이 변화합니다. 이는 대기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중력이 약해지고 대기 분자들이 더 이상 지구를 끌어당기지 못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태양 햇볕의 영향도 받습니다. 태양 햇볕은 지구의 대기를 가열하고 이에 따라 대기 분자들이 더 높은 고도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대기의 밀도가 더욱 낮아지고 구성 요소들의 비율이 변화하게 됩니다.
그리고 지구의 자전과 관련하여 대기의 구성도 변화합니다. 지구의 자전은 대기 분자들을 지구 주변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킵니다. 이로 인해 대기의 밀도가 더욱 낮아지고 구성 요소들의 비율이 변화하게 됩니다.
지구의 자기장도 대기의 구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 햇볕에서 나오는 자기 성분을 차단하고 대기 분자들이 지구를 떠나지 못하게 합니다. 이로 인해 대기의 밀도가 더욱 낮아지고 구성 요소들의 비율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지구의 대기 구성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마도 전리상태 이기때문이겠죠 핵원소가 구속력을 잃어 이온화 되다보니 산소도 희박하겠죠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