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01

코로나19 이후에 다음번 금융위기는 언제올까요?

코로나이후에 경제가 회복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양적완화를 통해 버블이 형성되고 있다고 보는데, 다음 금융위기는 언제쯤 올지 궁급합니다. 또 금융위기가 온다면 금, 은, 달러, 비트코인 중 어떤 자산을 매입해 두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장효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장효진 경제전문가22.01.03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위기의 순환주기는 전문가들마다 그 의견이 분분한 편이나, 대략 10년주기가 상당한 지지를 받는 이론중 하나입니다.

    다만 이번 사태의 경우 자연적인 경제순환으로 인한요인 보다는 자연재해에 가까운 뜻밖의 요인이므로 다소 그 주기와 맞지 않을 수 있으나.

    그래도 이 이론을 대강 적용할 경우, 약 2031년 전후로 경제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경제 불황을 예측하는 또다른 이론으론 마천루 이론이 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천루가 완공되는 날짜를 계산하고, 그 완공날짜 전후를 불황으로 보는 이론입니다.

    언듯보면 마천루와 경제불황이 무슨상관이냐 하실 수 있겠지만.

    마천루의 착공일이 대략 경제호황의 기간이므로 그 완공일은 대략 불황이지 않을까에서 출발한 이론으로.

    그 예측률은 의미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또한 금융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말씀하신 금과 은 과 같은 실물자산이 있으며.

    그 외에 물가연동채와 같은 채권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비트코인과 같은 코인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코인시장의 경우 아직 신생시장으로 그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다른 자산들보다 불황에 효과적인 헷지 수단이 될수 없음에 유의하셔야 겠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부르는 10년 주기설은 1997년 외환위기, 2008 금융위기 이후 2018~19년에는 그 예상이 빗나갔다고 생각하는 시각이 많았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2020년 다시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분명한건 경기(경제)는 사이클로서 순환한다는 것입니다. 금융위기등의 위기가 온다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금이나 은 등 안정자산에 투자하려는 성향이 강해집니다.

    경기순환(경기변동)이란 경기(경제)가 상승과 하락을 일정한 주기를 두고 반복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2단계로 구분할때는 확장 국면(호황기), 수축국면(불황기)로

    4단계로 구분할때는 호황인 국면에 회복기, 활황기 불황인 국면에 후퇴기, 침체기로 구분합니다.

    이를 사이클로 나타낸 것을 경기순환사이클이라고 부릅니다.

    현재 국면이 어떠한 상황인지는 당장에 판단하기 힘든 것이 현실입니다.

    다만, KOSIS에서 제공하는 경기순환 시계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kosis.kr/visual/bcc/index/index.do?mb=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