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거북이194
고귀한거북이19423.02.19

구름은 어떻게 생기고,왜 하얀색일까요?

안녕하세요

하늘에 구름은 어떻게 생기고

왜 색이 하얀색일까요?

날이 안좋은날 어두운 구름색도 본적이 있는데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구름은 공기 상승과 단열 팽창의 조합으로 만들어집니다.

    지표면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팽창하고 기온은 떨어지며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죠.

    구름의 색상은 구름의 두께와 관련됩니다.

    구름이 두꺼우면 구름을 통과하는 빛이 구름에 많이 흡수되어 어두운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의 수증기가 대기로 올라가 낮은 온도로 인해서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는 햇빛에 의해서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공기중에 있는 작은 물분자가 모여 구름이 됩니다. 또한 많은 물분자가 모이게 되면 먹구름이 됩니다.

    보통 작은 물분자들이 모이게 되면 그곳을 지나는 빛이 물분자에 의해 산란을 하게되고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크고 많은 물분자들은 빛을 산란하는데 방해를 하여 검게 보이게 됩니다. 이것을 먹구름이라고 합니다.

    먹구름이 보이면 비가 온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