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아름드림
아름드림

앨니뇨 현상의 정확한 의미와 최초 이 용어가 만들어진 경위는 어떻게 되는지요

앨니뇨 현상이라고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뜻은 잘 알지 못합니다. 이 용어의 정확한 의미와 용어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엘리뇨라는 단어는 스페인어인 아기 예수에서 따온 말 입니다. 이 엘리뇨 현상은 태평양 바다의 온도와 해당 주변 대기 상태가 변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엘리뇨 현상에 의해 해류가 역류 또는 약해지고 일부 지역은 수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앨니뇨 현상은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앨니뇨는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 를 뜻하는 단어로, 1600년대 페루 해안가 어부들이 처음 관찰한 현상입니다. 어부들은 크리스마스가 있는 12월경 아메리카 대륙 근처 온수층이 최고조로 두꺼워진다는 걸 알아챈 어부들은 이 현상에 대해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를 뜻하는 '엘니뇨'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기본적으로 무역풍에 의해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해수는 기본적으로 서태평양의 해수면이 동태평양에 비해 높은 현상을 만들게 됩니다. 물론 우리가 인지할 수 없을 정도의 경사지만 말이죠. 이러한 경사가 유지되는 이유는 지속적으로 무역풍이 해수를 운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시적으로 무역풍이 약화되는 엘리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서패평양에 쌓인 해수가 다시 동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는겁니다.



    2번째로 기단이란 공기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땅 덩어리는 지괴 해수의 덩어리는 수괴라고 부르죠. 주로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일정한 특성을 가진 공기 덩어리가 이동하는 경우 이를 기단이라고 지칭합니다. 서-동태평양의 기온을 비교하는 경우 기단이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기온이라 함은 대기의 온도라고 합니다. 이는 대기가 분포하는 지역의 환경에 영향을 받죠 특히 지표나 해양의 분포는 기온, 기압 분포에도 많은 영향을 줍니다. 해풍 육풍은 대표적으로 육지와 바다의 가열, 냉각 속도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기압차가 주된 원인이죠. 해수의 온도는 결국 해수면 위에 존재하는 대기에 영향을 주고 이는 대기대순환에 의해 돌고도며 다시 대기가 지표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에는 매년 12월 페루 연안에 찾아오는 난류를 지칭하던 말이었다. 페루 어민들이 크리스마스와 연관시켜 붙인 이름이었다. 스페인어로 ‘남자 아이’를 의미하며 크리스마스 즈음에 나타나 ‘아기 예수’를 의미하게 되었다.


    몇 년에 한 번씩 해표면 수온이 높은 상태로 1년 이상 지속되면서, 플랑크톤과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동시에 남아메리카 서해안에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 기상이변 피해가 속출하면서 이 현상도 차차 엘니뇨라고 불리게 되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 현상은 태평양 해양의 온도와 대기 상태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기후 현상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태평양 동부의 열대 해류인 페루 해류가 약해지거나 역류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태평양 중앙 및 동부 지역의 수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증가하고, 강수량 분포 및 패턴이 변화하며, 기후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엘니뇨"라는 용어는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라는 뜻입니다. 이 용어는 주로 페루 인디오 사람들이 태평양의 이상 기후 현상을 설명할 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남아메리카 연안에서 수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간주되었지만, 이후 연구를 통해 태평양 전역과 전 세계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 현상은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상태가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대기의 저기압이 강화되고, 고기압이 약화됩니다. 이로 인해, 동태평양의 동쪽 지역은 비가 많이 내리고, 서쪽 지역은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게 됩니다.

    엘니뇨 현상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양 활동의 변화, 해양의 순환 변화, 대기의 순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엘니뇨 현상은 1600년대 페루의 어부들에 의해 처음으로 관찰되었습니다. 당시 페루 해안가 어부들은 크리스마스가 있는 12월경 아메리카 대륙 근처 온수층이 최고조로 두꺼워진다는 걸 알아챈 어부들은 이 현상에 대해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를 뜻하는 '엘니뇨'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엘니뇨 현상은 지구 기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 전 세계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량이 변동합니다. 또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해안 침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엘니뇨 현상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2~7년마다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1997년, 2002년, 2009년, 2015년, 2020년에 엘니뇨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엘니뇨 현상은 인류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엘니뇨 현상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