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이 잘 안나와서 입안이 잘 마르고 식사도 힘듭니다.
어렸을때 잘 안 먹어 버릇해서인지
입맛 잘 안도는건 항상그랬고요.
입도 잘 마르곤 해서 목도 자주 잠깁니다.
침도 잘 안나옵니다. 물이나 종류에따라 탄산음료가 없으면 식사가 거의 힘듭니다. 당연히 식욕도 없구요. 이정도면 침샘 같은 곳에 문제가 있지 않나 싶은데 무슨 병원 가서 무슨 검사를 받아야하나요?
구강 건조 '은 침의 분비가 저하되어 입안이 건조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평소 입 호흡 일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탈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는 구강 건조 발병하는 원인이 됩니다. 그 외에도, 당뇨병 등의 질병이나 강압제 · 진통제 등의 약물 등에 의해서도, 구강 건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타액은 살균 작용, 자정 작용이 있기 때문에 "구강 건조 '을 통해 충치 나 잇몸 질환 등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구강 건조의 "주요 증상"입안이 건조
구취가 강해진다
입안의 살균력 저하 (감기에 걸리기 쉬워진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나스 트레스가 많은 사람이 발병하기 쉽습니다.
또한 고령이 되면 타액을 줄이고 구강 건조가 쉬워집니다.
병원에서는 "어떤 검사를 하나요?"의료기관에서 문진 외에 타액 분비 검사, 타액 분비량을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병원에서는 "어떤 치료를 하나요?"
타액 검사는 껌을 씹어 침을 측정 거즈에 타액을 흡수시키는 색슨 테스트 등이 있습니다.의료기관에서 구강 건조라고 진단되는 경우
입 호흡을 하지 말고 코호흡으로 한다
식사는 잘 씹는다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시킨다
등 생활 습관의 개선을 실시합니다. 그 외에도 침샘 마사지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입이 건조해지는 이유는 여러가지입니다.
약물에 의한 경우와 노화에 의해 입이 마르는 경우가 가장 많구요.
암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나 스트레스, 흡연, 카페인 등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갑상선 질환 등에서 입이 마르는 경우도 있구요.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나 탈수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평소 껌이나 신맛이 나는 사탕 등을 이용해서 침이 고이게 하는 방법이 있기도 하구요.
커피나 담배를 줄이고, 껌이나 사탕을 이용해도 호전이 없거나
미각의 변화가 있고 삼키기 힘들다거나 혀가 꺼끌꺼글한게 지속된다면
류마티스 내과나 일반 내과, 가정의학과 등에서 원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구강건조증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진단
기본 상태에서의 침 분비가 분당 0.1ml 이하이면 진단할 수 있다.
검사
쇼그렌 증후군 등을 감별하기 위해 소타액선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혈액검사와 종양의 침범을 평가하기 위한 CT 등으로 검사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타액선 스캔도 실시해야 될 때가 있다.
치료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이를 감별하여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입마름을 완화하기 위해서 인공 타액 제품을 사용해 보거나,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안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불소나 소독약이 포함된 가글린 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침샘과 관련된 자가면역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특정하기는 어렵고 우선 내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아 기본적인 검사부터 시행하시는것이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침이 잘 분비되지 않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침샘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이비인후과에서 진료 받아보시는것이 정확하겠습니다.
입마름 증상이 지속시 소화장애를 일으킬수가 있으니 쾌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물을많이 드시는걸추천드립니다. 식사중에 탄산은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수있습니다.
침이진짜잘안나오면 여러질환를 의심해볼수있습니다. 이는 류마티스내과진료를 보심을 추천드립니다.